내용 |
동물의 몸짓과 행동을 관측할 목적으로 동물 몸에 부착시키는 측정 장치가 기술의 진보에 힘입어 점점 소형화, 정밀화 가도를 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가장 두터운 신비의 베일에 싸인 해양 종들의 행동의 신비가 조금씩 파헤쳐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육지에서 동물의 행동을 관측하는 작업도 골치 아픈 문제인데, 해양 동물의 행동을 자세히 관측한다는 것은 실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육지에서 쉽게 관측이 되지만, 먹이를 취할 때면 때로 며칠씩 차가운 물 속으로 잠수해 들어가는 웨들 바다표범(Weddell seal)과 같은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바다 표범의 잠수 깊이와 잠수 시간, 잠수 장소를 측정하기 위해 Gerald Kooyman라는 해양학자가 1964년 바다 표범 무리 중 한 마리에게 기록장치(recorder) 장착을 시도한 적이 있다. 그는 후에 quo;bio-logging quo;이라고 명명된 기술의 개척자 중 한 사람이 된다. quo;Bio-logging quo;이라는 어휘는 동경의 국립 극지연구소(NIPR)의 Yan Ropert-Coudert(프랑스)에 의해 고안되었다. Ropert-Coudert는 '동물 행동학(ethology)과 동물학(zoology)처럼 서로 다른 과학들 간의 기로에 존재하는 bio-logging은 동물이 사는 자연 환경 속에서의 동물 생물학 관측, 그리고 이 둘 간의(동물의 생물학과 자연 환경) 상호 작용으로 정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 동경에서 Bio-logging 과학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이 처음으로 열렸던 2003년 이래, 동물의 생활을 관측하는 다양한 방법 및 기술들이 통합되고 있다. 최근 수년 간의 기술적 진보에 의해 bio-logging을 위한 광활한 가능성의 지평이 열리고 있다. 일본 국립 극지연구소의 Yasuhiko Naito 교수의 주창으로 1990년대 초에는 픽업과 립스틱 크기의 기록 장치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quo;Little Leonardo quo;라는 회사가 창립되었다. 의료 공학(biomedical engineering)계 출신으로 회사 창립자 중 한 사람인 미치코 스즈키는 특수 집게의 도움으로 작은 관의 마개를 뽑고 중심의 전자 장치를 보여주었다. 그는 '모델에 따라 온도/깊이/속도 이외에 가속도, 자장,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고, 동물이 보는 것을 보기 위해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우리는 동물의 여정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기에 충분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회사 이름을 quo;Little Leonardo quo;라고 명명했다.'라고 설명했다. Yan Ropert-Coudert는 '해양종의 행동을 에워싼 수많은 신비를 파헤쳐 가면 그들을 보다 잘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디에서 먹이를 취하고 어디에서 번식을 하는지를 안다면, 가장 위협 받는 동물 종들을 보호하기 위해 국지적 보호지역을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라고 평가한다. 극지 연구소의 아키코 카토 교수는 'Bio-logging의 큰 현안 중 하나는 크릴 새우의 일부 개체군이 줄어드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다.'라고 지적하면서, '작은 크릴 새우는 많은 해양 종, 특히 고래의 먹이 사슬의 기초를 이루며 지구상 가장 중요한 바이오매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개체군의 감소는 비극적일 수밖에 없다. 크릴 새우를 먹이로 취하는 많은 종에 픽업 장치를 장착시켜 크릴 새우떼의 동적인 지도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Ropert-Coudert이 단언하듯 그 누가 해양 동물보다 해양의 비밀을 더 잘 알려줄 수 있겠는가? 다음 Biop-logging 심포지엄은 2005년 6월 13일에서 16일까지 스코틀랜드의 Saint Andrews에서 열릴 예정이다. 사진) 멀리서 관측이 가능하도록 기기를 장착시킨 바다표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