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유럽 해양 연구 전망 유럽 각국과 전체 유럽 차원에서 해양연구 정책과 프로그램의 상호연관성 증가는, 유럽해양학이 운영되는 관리와 지배 구조 내에서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유럽 해양학 연구의 우선사항과 전략 확립을 지원할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생겼다. 해양위원회(Marine Board-ESF )는 다각적인 협력을 증진하고 해양학의 범 유럽적인 발달을 지원함으로써 이런 필요에 대응한다. 전략적인 문제를 다루기 위해 해양위원회 는 연구와 정책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호보완적이면서도 양립할 수 있는 해양 연구 전략을 제공할 목적으로 국립기관과 유럽 기관에 정책 진단을 개발한다. 현재 해양위원회 는 유럽 20개국의 30개 해양연구 단체를 대표한다. 1995년 설립 이후 해양위원회는 유럽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긴급한 해양학의 문제를 확인하고 우선시하는 일에 주력하고, 해양 연구를 위한 유럽의 전략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분석과 연구를 주도했다. 해양위원회 에 속한 워킹그룹은 해양학의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해서 만들어졌다. 해양위원회의 주요 임무 중의 하나는 유럽 차원과 국가 차원에서 정책 개발을 감시함으로서 해양학 공동체와 정책 사이를 중개하 는 것이다. 2008년 9월에 유럽위원회통신부(European Commission Communication)가 시작한 해양해운연구전략은(Marine and Maritime Research Strategy ) 유럽 전역에 흩어진 연구 활동, 프로그램, 정책을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해양해운연구전략 은 해양해운 연구와 기술 개발 분야에서 유럽이 가진 높은 역량을 동원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전략 은 유럽과, 개별 국가, 지역 차원에서 기존의 그리고 새로운 재정자원을 좀더 효율성 있게 관리할 방법을 확인하고 이행하는 것을 언급한다. 연구전략 은 과학기술 도전의 윤곽을 그리며, 기후변화와 인간의 활동이 해안과 바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같은 것을 다룬다. 연구전략 은 해양자원관리, 해양과 공간기획, 대양의 관리와 해양경제학, 수송에 대한 생태적 접근방법의 이행 같은 분야에서 자료에 기반한 정책을 지원하고, 재생가능한 대양 에너지, 바다에서 나오는 부가 가치된 생물 제품(블루 테크놀로지), 해양관찰의 새로운 혁신 같은 신기술과 지식기반의 상업적인 기회를 강조한다. 해양해운연구전략 은, 지식경제의 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 협력 향상, 유럽연합 해양전략 지배, 유럽 연구분야 확립 같은 유럽연합의 다른 정책과 완전히 일치하며 이를 지원한다. 해양위원회 는 연구전략 의 발전에 필요한 활동과 이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활동을 적극 이행할 것이다. 위원회 는 연구전략 이 독자적으로 활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활동을 통해 목표를 완전히 실현할 수 없다는 것을 안다. 연구프로그램 간에 완전한 협력이 부족하다는 보고가 있어, 유럽단일연구공간(European Research Area )과 유럽연합 합동 프로그래밍 계획(European Union 's Joint Programming Scheme) 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맥락에선 국가적인 차원이든, 유럽 전체 차원이든, 모든 차원에서 앞으로의 작업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구조적인 부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Joint Programming Scheme 은 2010년 첫 사업 시작을 목포로 공적 연구기금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것은 지속적인 개발 전략(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과 해양해운연구전략 에서 전향적인 접근이라는 결과를 위해서 회원국이 공동연구의제를 규정, 개발, 이행하는 데 참여하게 한다. 해양 생태계와 생물종 다양성 연구분야가 전체 회원국에서 미래의 우선 합동 연구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다. 유럽연합회원국이 합동으로 연구에 투자하는 것은 기금연구의 효율성과 효과를 증대시키고, 연구자들의 훈련과 이동성을 향상하여 유럽의 성장과 일자리 의제(Europe 's Growth and Jobs Agenda )에 부합할 것이다 목차 1부. 국가적인 우선사항과 유럽의 우선사항 2부. 지역별 우선사항 A. 북대서양지역(북해, 영국해협, 켈트해, 노르웨이해 포함)에서의 해양과학 우선사항 B. 발트해에서의 해양과학 우선사항 C. 지중해(흑해 포함)에서의 해양과학 우선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