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과학기술 기본정책 책정의 기본방침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7-16 00:00:00.000
내용 1. 기본이념 ○ 다이나믹한 세계의 변화와 일본의 위기 - 다이나믹한 세계의 변화, 신흥국의 대두, 일본의 상대적 지위 저하 - 지구 온난화 등의 글로벌 과제, 국내의 고령화·인구 감소의 심각화 - 이노베이션 시스템의 구조 변화로의 대응 지연,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정책의 전략적 전개의 필요성 ○ 국가전력으로의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자리매김 - 국가 전략으로서의 '신성장 전략'을 근거로, 보다 폭넓은 관점으로부터 심화·구체화 - 일본의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정책의 기본방침 rarr;국가 전략으로서의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정책의 일체적 추진 ○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실현과 과제 - 과학기술 정책과 다른 중요 정책과의 연계가 희박하다 - 과학기술 발전이 반드시 과제 해결로 연결되지 않았다 - 과학기술에 대한 기대는 높지만, 널리 국민의 지지·공감이 얻지 못했다 ○ 2020년을 목표로 한 국가·사회의 모습 - 여러 가지 과제를 강점으로 전환해, 지속적인 성장을 실현하는 국가 - 안전하고 질 높은 사회 및 국민 생활을 실현하여 국민의 자랑이 되는 국가 - 지구 규모 과제 해결을 선도하는 국가 - 과학적 '지'의 자산을 계속 창출하며, 이를 육성하는 환경을 가진 국가 - 젊은이가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국가 2. 국가 전략 핵심으로서의 2대 이노베이션의 추진 ○ 그린 이노베이션 - 재생가능 에너지로의 전환, 에너지 공급·이용의 저탄소화, 에너지 이용의 효율화·스마트화, 사회 인프라의 그린화 - 이노베이션을 유발하는 '포지티브 규제'의 활용 - 안전 규제를 한정 해제하는 특구 기능의 첨단연구 거점의 창설 - 국제 표준화에 의한 경쟁력 강화 전략의 책정·추진 ○ 라이프 이노베이션 - 예방 의학의 추진, 혁신적 진단·치료법의 개발, 고령자·장애자의 과학기술에 의한 자립 지원 - 기반이 되는 첨단 연구개발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체제 구축 - 탐색형 중개 연구의 실시 - 사회대응형 과학(Regulatory Science)의 추진 - '포지티브 규제'의 활용 ○ 이노베이션 창출을 촉진하는 새로운 체제 - 이노베이션 전략 책정·추진을 위한 장으로서의 '(가칭)이노베이션 전략 협의회' 창설 - 출구를 확인한 전략적인 연구개발을 실시해, 이노베이션 창출에 연결하는 다양한 오픈 이노베이션 거점의 형성 - 첨단적인 중소·벤처기업의 잠재력을 상향시키는 '다단계 선발 기술개발 지원'의 본격 실시, 이노베이션 추진을 위한 특구 활용 - 새로운 제도·규제에 의한 새로운 시장 창출, 공공부문에서의 이노베이션 촉진 3. 국가를 지탱해 새로운 강점을 창출하는 연구개발 추진 ○ 풍요로운 국민생활 기반을 지탱 - 식료·자원·에너지의 안정적 확보 - 안전한 국민생활 확보 ○ 산업기반을 지탱 - 일본의 강점을 늘린다 : 로보틱스, 제조기술, 재료 과학기술 등 - 장래를 위해서 새로운 강점을 만든다 : 나노, 전자 등 ○ 국가의 기반을 지탱 - 우주, 해양, 방재, 원자력, 정보통신·정보보안에 관한 기간·안전 보장 기술 ○ 과제해결형 연구개발의 공통 기반을 지탱 - 영역 횡단적인 공통 기반이 되는 과학기술을 강화 - 과제해결형 연구개발의 국제 연구 네트워크의 허브를 구축 4. 과학기술 기초 체력의 발본적 강화 ○ 기초연구의 발본적 강화 - 연구자의 의욕을 높여 새로운 도전을 촉진해, 전체적인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개혁을 추진 : 대학의 기반적 경비의 충실, 과학연구비보조금의 충실과 개혁 - 국제 연구 네트워크의 허브가 되는 연구거점 형성 - 세계 톱 레벨의 거점을 가진 '(가칭)리서치·유니버시티' 형성 ○ 과학기술 인재의 강화 - 교육 내용의 투명화 및 대학평가 충실 등에 의한 대학원 교육의 발본적 강화 - 다면적 전문지식을 가진 고도 인재의 육성과 활약 촉진 (전문인재의 지위 확립 및 기동적으로 파견하는 체제 정비 등) - 테뉴어 트랙(Tenure track)제의 정착, 유동성 향상 - 여성 연구자의 활약 촉진 - 교원의 연수 기회, 아이의 학습 기회의 충실 ○ 국제수준의 연구환경 형성 - 대학·연구개발기관의 시설·설비의 정비·공용 - 대형 연구시설·설비의 국내외 정비·이용 - 지적기반, 연구정보기반의 정비 ○ 세계의 활력과 일체화된 국제 전개 - 과학기술 외교의 새로운 지원 개척 - '동아시아 사이언스 이노베이션 에리어 구상'의 추진 - 첨단 과학기술의 국제 협력의 추진 5. 향후의 새로운 정책 전개 ○ 과학기술 시스템 개혁 - 연구개발 독립법인의 기능 강화 - 과학기술에서의 PDCA(Plan-Do-Check-Act) 사이클 구축 - 자금배분기관의 자리매김의 명확화 ○ 국민과 함께 하는 과학기술 정책 - 정책 입안·추진에 국민 참가 촉진 -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전개 : 공적 연구비를 획득한 연구자의 정보 공개, 국립국회도서관·비즈니스 지원 도서관과의 제휴, 국회의원과 연구자의 대화 촉진 ○ 연구개발 투자 강화 - 연구개발 투자 : 민관의 총 연구개발 투자를 GDP 대비 4% 이상( sim;2020년) - 민간투자를 촉진하는 세제 등의 구조 검토 - 목차 - 1. 기본이념 2. 국가 전략 핵심으로서의 2대 이노베이션 추진 3. 국가를 지탱해 새로운 강점을 창출하는 연구개발 추진 4. 과학기술 기초 체력의 발본적 강화 5. 향후의 새로운 정책 전개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21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