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세포 사회의 통합적 해명을 위한 전략 연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01-12 00:00:00.000
내용 1. 작성 목적 ○ 생체는 여러 세포와 이를 둘러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직·장기가 형성되고 세포로부터 조직, 기관, 개체라고 하는 계층적인 세포 사회의 기능이 유지되고 있다. ○ 한편, 연구개발전략센터(CRDS)에서는 이종간(異種間)을 포함한 세포간의 상호 관계 및 세포 내외의 상호 관계를 '세포 사회'라고 정의하고, '세포 사회'의 연구를 추진해 가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개발안의 추출 및 이의 추진상의 문제점을 명확히 해,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한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2. 워크숍 개최 내용 ○ 세션 1에서는 '세포 사회'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술로서 '세포 사회'를 가시화하기 위한 이미징 기술, '세포 사회'를 재현하기 위한 in vitro 배양 기술 및 질환의 '세포 사회'를 충실히 반영하는 동물 모델의 중요성이 시사되었으며 생체 외에서 재현한 '세포 사회'의 이식 응용에서의 문제도 제기되었다. - 종합 토론에서는 향후 필요한 기술을 취급할 수 있는 인재의 육성을 지원해 나가는 대응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세션 2에서는 임상 연구 측면에서의 '세포 사회' 연구의 향후 추진에 대한 기대와 문제 제기가 있었다. - 생체 조직 그 자체의 특성을 잃지 않고 배양하는 기술의 유용성, 생체 시료 뱅크 설립의 필요성과 윤리적 측면의 취급에 대한 연구 추진상의 문제점 및 신경이나 혈관의 세포를 둘러싼 '세포 사회'의 재현의 기술적인 문제점이 추출되었다. ○ 세션 3에서는 세션 1, 2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층 더 '세포 사회' 연구를 향후 추진해 가기 위한 방책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실시하였다. - 세션 2까지는 현재의 기술개발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지만, 연구 추진상의 문제에 대해서는 세션 3에서 논의를 실시하였다. - 임상 검사대상 물체에 대해서는 설명과 동의, 검사대상 물체의 질적 보관·보존 등에 여러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 이미징에 대해서는 생체 레벨로의 분자나 세포의 동태를 가시화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의 필요성, 질환 제어를 목표로 한 Multimodality화의 촉진, 이러한 개발에 대응할 수 있는 체제가 갖추어진 연구 거점 형성, 의학 및 공학에 모두 정통한 연구 인재의 육성 등이 제안되었다. 3. 정리 ○ 전체적으로, 이종 세포간의 '사회성'의 해명을 위한 맹아적인 기술이 나오기 시작해 질환 연구의 장애가 되고 있는 조직 레벨의 연구에 도전하는 필요성과 적시성에 대해서, 참가자간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에 의한 새로운 학술적인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세포가 혼재하는 복잡한 사회적 기능, 즉 '세포 사회'를 해명해, 질환 제어로의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 생명과학 연구의 진전에는 생물학 연구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 조직 공학, 그 외 구조 해석, 이미징 등의 계측 기술자 등의 생명공학 분야, 생체 정보과학을 전문으로 하는 수리계 연구자의 참여가 필수가 되고 있다. - 목차 - 1. 워크숍 개요 2. 개최 보고 3. 정리(성과와 향후의 방향성) 4. 고찰 및 향후의 전망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009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