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개요 ○ 생명과학 관련 연구개발 영역의 확대와 영역간ㆍ분야간 융합 진전 ○ 생명과학의 연구 성과를 실제로 사회 기술에 적용하는 요구 증대 ( 사회적ㆍ정책적 배경 ) ○ 일본과 미국 , 유럽 , 중국 및 한국의 연구 수준 , 기술개발 수준 , 산업 기술력을 비교 ○ 생명과학 관련 주요 8 개 분야의 최신 동향을 정리 -' 게놈 과학ㆍ융합 연구 ', ' 뇌신경 ', ' 발생ㆍ · 재생 ', ' 면역 ', ' 암 ', ldquo; 건강 rdquo;, ldquo; 그린 테크놀로지 rdquo;, ldquo; 윤리ㆍ통치ㆍ아웃리치 rdquo; □ 조사결과 ○ 일본 - 실험적 접근 분야 전체가 미국 다음 수준으로 , 유럽 선진국가들과 거의 동등한 수준 - 발생 ㆍ 재생 및 면역 분야에서는 국제적으로도 높은 수준에 있는 분야도 있지만 , 기술개발 수준 , 산업기술력은 전반적으로 미국에 비해 매우 낮고 , 응용 면으로 갈수록 그 경향이 강함 - 기초에서 응용 , 산업화로의 과정에 다양한 생체 시료와 생체 정보 활용을 지지하는 기반 ( 바이오 뱅크 , 데이터 베이스 ) 의 정비와 도구 개발 , 정보학 확충 , 규제와 윤리를 고려한 체제 관리 , 인재 육성 면에서 뒤처짐 ○ 미국 - 대규모의 연구 투자로 신규 분야 개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한편 , 정부 기관에 큰 권한을 집중시켜 기반적인 센터 정비와 기초에서 응용 ㆍ개발로의 통합적인 대책이 추진되고 있음 - 이러한 경향은 경제 위기와 오바마 정권 발족과 같은 사회 변화 속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남 ○ 영국 -Top down 방식으로 각국에서 한정된 자원을 자신 있는 분야에 할당해 미국과는 다른 분야에서 우위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이 엿보임 -FP8 을 위한 검토가 2010 년도부터 시작되는 등 계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는 기반적인 연구개발에 대해서는 하나의 국가 단독이 아닌 지역 내 또는 국제적인 구조로써 유지되고 있음 ○ 중국ㆍ한국의 연구개발력 진전 - 중국 , 한국 , 싱가폴 등은 유럽ㆍ미국으로부터의 연구자 초빙과 유학생 유입 등으로 이미 일본ㆍ유럽ㆍ미국과 거의 동등한 성과를 가지는 분야도 나오기 시작 ○ 인도 , 싱가폴 , 브라질 등 다양한 신흥국의 대두 - 인도 , 브라질 등 신흥국 연구개발 전략의 대부분은 유럽ㆍ미국을 모범으로 한 전략 □ 종합 ○ 생명과학의 연구개발이 개별적ㆍ요소적인 것에서 통합적ㆍ종합적인 것으로 전개 - 게놈을 비롯한 생체 정보를 기축으로 세포 , 조직 , 개체 , 집단 , 사회 등 생물적인 계층을 넘어선 보다 복잡한 계통으로 연구가 전개되는 시스템적 접근이 다양한 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음 - 생체 정보의 계측 , 분석 , 관리 , 공유와 전개를 중심으로 생명과학 분야 내 다른 연구 영역간 연계를 강화하고 과학기술 개발 분야 인재를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정책 개선이 필요 - 일본도 이러한 국제 조류를 반영한 연구개발에 전략적인 투자와 체제 정비가 필요하며 이 때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여러 선진 국가의 대책과 전략도 참고해야 함 ○ 중국ㆍ한국의 연구개발력 진전과 인도 , 싱가폴 , 브라질 등 다양한 신흥국의 대두 - 중국 , 한국 , 싱가폴 등은 유럽ㆍ미국으로부터의 연구자 초빙과 유학생 유입 등으로 이미 일본ㆍ유럽ㆍ미국과 거의 동등한 성과를 가지는 분야도 나오기 시작 - 인도 , 브라질 등 신흥국 연구개발 전략의 대부분은 유럽ㆍ미국을 모범으로 한 전략 ○ 일본이 아시아의 과학기술 전개에 이니셔티브를 발휘하기 위한 방책 - 유럽ㆍ미국과의 차별화를 도모하면서도 그 지리적 특성 등을 활용한 상대국과의 협동적인 발전성을 정확하게 상정해서 양호한 파트너쉽 구축과 유지에 노력할 필요가 있음 - 또한 , 장래의 기술 자원을 만드는 기초 연구에서는 항상 아시아ㆍ오세아니아를 이끌 수 있도록 장기적인 시야에 선 과학기술 외교 전략이 중요 [ 목차 ] 1. 목적ㆍ조사방법ㆍ본 보고서의 구성 2. 국제 기술력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