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원자로 설치 장소의 방사선학적 조절로 부터의 해제는 일반적으로 원자로 설치물을 폐기하는 마지막 단계중 하나이다. 이것은 단지 원자로의 폐기 프로젝트중 제한된 수에서만 시행되어왔고 전체적인 경험은 방사선 물질과 건물을 제거하는 일은 더욱 제한적인 것이었다. 이것은 대부분의 원자로 폐기 프로젝트가 원자로의 장소의 해제가 절박한 상황이 아니며 원자로의 장소가 핵 활동의 재 활용지가 되기 때문이다. OECD/NEA (Nuclear Energy Agency)의 WPDD (Working Party on Decommissioning and Dismantling)은 이 보고서를 통해 원자로 폐기의 계획이 실행될 예정이거나 진행중인 여러 원자로 폐기 프로젝트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폐기 장소의 해제가 실행될 국가의 적절한 공식 기관은 사용되어질 합리적인 해제 기준에 대한 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해제 기준들에대한 국제적 조화에 대한 필요는 방사선 물질의 처리 보다는 중요한 문제가 안되어 보인다. 왜냐하면 장소의 해제는 국제적 무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해제에 대한 계획과 장소의 최종 방사선 물질에대한 조사는 해제 측정 훨씬 전에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계획은 방사선 동위 원소의 오염에 대한 동정, 오염으로 부터 영향을 받는 지역에 대한 분류,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의 실행과 측정이나 샘플들의 숫자와 위치의 정의를 포함해야만 한다. 원자로 폐기 장소 해제 측정에 대한 적당한 기술들이 통계학적인 접근 방법들과 함께 이용 가능해야한다. 이러한 기술적 보조는 장소 해제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제공할수 있을것이다. 지하 토양에대한 오염은 장소 해제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만약 토양이 깊게 오염 되었다면 방사선학적인 모델을 구성하고 최종 조사 계획을 개발할때 이를 신중히 검토해야한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3장에서는 원자로 장소의 해제 시기를 결정할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을 기술하고 있다. 원자로 장소의 해제에 적용시킬 정화와 해제의 개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제 4장에서는 해제의 기준의 유도에대한 안내를 소개하고 있다. -제 5장에서는 원자 벡터의 결정과 같은 폐기 장소의 해제의 실행, 측정 기술들의 개요, 통 계학적 평가, 배경 감하기와 같은 측정에관한 방법들을 기술되었다. -제 6장에는 지하의 오염의 이슈를 논의하고 있다. 서문 1장. 중요 요점 정리 2장. 서론 3장. 장소 해제의 기초 4장. 해제 레벨의 유도 5장. 해제 장소의 실행 6장. 지하 오염을 지닌 장소 7장. 결론 8장. 참고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