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이하는 2008 년 8 월 21 일 에 열린 안전·안심과학기술 위원회의 제 15 회 자료 중의 ' 안전·안심과학기술 프로젝트의 앞으로의 방안에 대하여 ( 안 )' 의에 대한 요약이다 . 1. ' 안전·안심 과학기술 중요연구개발과제에 대하여 ' * 안전·안심 과학기술의 생각과 중요연구개발과제 유출 시점 - 행동학적 , 심리학적 지식을 활용한 인간행동과 인간을 둘러싼 사회환경 파악 - 현상을 파악한 후 리스크 평가 - 유저의 시점으로 지역과 환경의 차를 고려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시작으로 한 유저와의 피드백 * 중요연구개발과제 예 ( 안전·안심 과학기술을 지지하는 기반연구 ) - 사회현상계측연구 - 사회현상예측·평가연구 ( 사회적 과제에 대응한 연구개발과제 ) - 대규모 자연재해리스크 평가·감시시스템 개발 - 재해정보통신 시스템 개발 - 사회인프라 관리 - 정보통신 네트워크 안심확보 - 테러·범죄 등에 사용되는 위험물 감지·처리 - 수상한 자 감지시스템 개발 - 아이와 고령자의 위험 상태 감지·알림 시스템 개발 - 아이와 고령자 사고예방 - 질병 예방·건강증진을 위한 건강모니터링 2. 앞으로의 안전·안심 과학기술 프로젝트 방안에 대하여 (1) 안전·안심과학기술 프로젝트 -2008 년도 예산 625 백만엔 (100 엔 =10 1049.93 원 ) 중요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을 추진함으로써 국가안보보장 , 국민생활 안심과 안전확보에 공헌한다 . 또 이 방안을 통해 안전·안심에 이바지하는 과학기술추진을 위한 거점 정비 , 관련연구원의 네트워크 구축을 도모한다 . ○국가 안전·안심이 기반되는 과학기술 ( 추가 ) - 정책 니즈 (needs) 와 대학 , 산관 기술 시즈 (seeds) 를 연대하여 기술누락을 해소하고 실효적인 연구개발을 실시하는 안전·안심 프로젝트의 특징을 살려 국가의 안전·안심 ( 국가 보안 ) 관점에서 중요한 기반적 과학기술의 추진을 검토한다 . - 본 과제에 관련된 연구개발테마를 설정하여 국가적 수준에서 중요한 과제를 유출하고 기술누락 해소와 중복을 배제할 수 있도록 국가로써 대응할 수 있는 니즈를 반영하는 틀을 구축한다 . - 예를 들어 정보보안 기술에 있어서 정책적 니즈로 정보기술이 라이프라인으로 활용되는 현상에서 국가전체의 정보기술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 . 이에 구체적인 과제로는 더 안전한 차세대 IT 기술개발 , 네트워크의 위협 ,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평가 , 파악하는 기술개발 등이 있다 . 또한 국제적인 핵불확산 확보기술에 대한 정책적 니즈로 국제적인 원자력 이용의 확대에 핵불확산 , 핵보안 확보는 중요한 과제이며 일본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 국제적인 공헌을 해야한다 .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제로써 소량의 핵물질을 대상으로 한 핵감식분석기술 연구개발 , 원자로내의 핵물질량의 원격계측기술개발 등의 국가적 니즈를 안전·안심과학기술 프로젝트와 연대하여 대학 , 산관의 기술 잠재력을 활용한다 . ○테러대책에 관한 연구개발 ( 확충 ) - 지금까지 축적된 기초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대학·연구기관이 현장과 연대하여 테러대책에 관한 연구개발을 2007 년부터 실시했다 . -2009 년에도 계속하여 위험물 탐지기술에 대한 신규공모를 실시한다 . ○지역사회의 안전·안심의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 확충 ) - 지역사회를 구체적인 유저로 현장에서 과학기술을 실질화한다 . -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다루기 힘든 사회적 가치 ( 치안·범죄 , 의료·건강·구급 , 인프라 보호 등 ) 를 과학기술로 지원한다 . - 대학·산관의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통한 이노베이션을 실현한다 . (2) 위기 사태 별·분야별 연구개발 추진 -2008 년도 예산 21,372 백만엔 종합과학기술회의 ' 안전에 이바지하는 과학기술추진전략 ' 을 근거로 위기사태별·분야별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 대규모 자연재해 , 중대사고 , 전염병 , 식품안전문제 , 정보보안 , 테러리즘 , 각종 범죄 위협에 대한 대책기술과 함께 공통적인 기반기술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