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에코 기술혁신 측정 방법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4-09 00:00:00.000
내용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의 UNU-MERIT(국제연합대학의 연구 및 인력양성 중심센터)는 에코 기술혁신을 측정하는 필요성과 측정방법 등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본 보고서는 2008년 말 간략 보고서에 이은 완전한 보고서이다. 에코 기술혁신을 측정하는 이유 - 정책입안자들에게 에코 기술혁신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추세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구체적인 제품 분류에 대한 추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정책입안자들에게 에코 기술혁신을 위한 주요 동인과 저해요인을 인지하기 위해 필요한데, 이러한 정보는 효과적인 정책 및 프레임워크의 디자인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 이해관계자들간 에코 기술혁신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주고, 기업들에게 효과에 대한 분석에 기초한 에코 기술혁신의 노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 전체 사회에 대해 환경문제의 완화로 인한 경제성장의 저해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 소비자에게 제품 및 라이프사이클의 환경적인 결과에 있어 차이점을 환기시킨다. 에코 기술혁신 활동 구분 - 에코 기술혁신의 측정 분야 에코 기술혁신의 성격 및 활용 규모 에코 기술혁신의 동인 및 저해요인 에코 기술혁신의 효과 - 기술혁신의 성격에 따른 분류 OECD에 의한 에코 기술혁신 분류 오염관리: 공기오염관리, 폐기물 관리, 토양폐기물관리, 토양 및 수질 정화, 소음 및 진동 경감, 환경 모니터링 분석 및 평가 청정기술 및 제품: 청정/자원 효율화 기술 및 프로세스, 청정/자원 효율 제품 자원 관리 그룹: 실내공기오염관리, 물공급, 재활용 재료, 재생 에너지 공장, 히트/에너지 절감 및 관리, 지속가능한 농업/어업/산림업, 자연재해관리, 에코-관광 UNU-MERIT에 의한 에코 기술혁신 분류 환경기술(Environmental Technologies): 오염관리기술(폐기물 처리 기술), 청정 공정 기술, 청정기술, 수자원관리기술, 환경모니터링기술, 그린에너지기술 환경을 위한 조직 기술혁신(Organizational Innovation for the environment): 오염방지계획, 환경관리 및 감시 시스템 환경적 이득을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 기술혁신(Product and service innovation offering environmental benefits): 신/향상된 환경친화적 제품(에코 하우스 등), 그린 금융제품(에코리스, 에코 모기지), 환경 서비스 그린 시스템 기술혁신(green system innovations): 환경 친화적 대체 생산 시스템(바이오연료,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 에코 기술혁신 동인 규제, 사용자 수요, 새로운 시장 진출, 비용 절감, 이미지 - 에코 기술혁신 저해요인 유럽연합의 환경기술 실천 계획 경제적: 환경기술에 대한 과대한 투자 비용, 초기투자비용의 크기 등 규제 및 표준: 분명하지 않거나 너무 세밀한 규제 등 불충분한 연구개발 노력: 연구개발 시스템의 부적절한 기능, 정보 및 교육 취약 등 위험자본의 부적절한 활용가능성 시장 수요의 부족 이외에 관련 연구에서는 에코 기술혁신의 저해요인을 기술적 저해요인, 재정적 저해요인, 노동력-관련 저해요인, 규제적 저해요인, 소비자-관련 저해요인, 공급자-관련 저해요인, 관려적 저해요인으로 구분하고 있기도 한다. 에코 기술혁신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 투입 측정: R D 지출액, R D 인력과 기술혁신 지출(디자인 비용, 마케팅 비용 등을 포함한 광의의 개념) - 중간 산출물 측정: 특허 수, 과학 출판의 수와 형태 - 혁신 산출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 기술혁신 수, 개별 기술혁신의 상세설명, 새로운 제품에 대한 매출 - 집합적 자료에 기인한 간접적인 측정: 생산성과 자원 효율성의 변화 에코 기술혁신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개발에 대한 제언 - 이상적인 에코 기술혁신을 측정하는데 있어 현재의 설문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설문 조사에 있어 아래 사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창조적인 기술혁신과 기술채용을 모두 포함하여 조사하고 두 분류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창조적인 기술혁신에 있어 R D 투자, 에코 기술혁신 연구개발에 참여한 인력의 수, 관련 특허와 같은 중간 산출물 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부가가치 체인 상에서 에코 기술혁신이 발생하는 경로를 인지하기 위해 에코 기술혁신의 상이한 형태(제품, 공정, 조직 기술혁신 등)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정책 인센티브가 집중될 분야를 결정하기 위해 의도된 또는 의도되지 않은 기술혁신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환경 효과를 인지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형태를 인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정책이 차별적인가를 평가하는데 가치가 있다. ? 경쟁력에 대한 에코 기술혁신의 효과를 인지하기 위해 매출액, 제품 비용, 고용 측면에서 에코 기술혁신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자료를 획득해야 한다. 기업들이 에코 기술혁신으로부터의 재정적인 혜택을 얻기 위한 점유성(Appropriation) 방법이 무엇인가를 인지한다. 에코 기술혁신의 유인과 여타 인센티브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 * www.ndsl.kr (GTB 참조) '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TT2009001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