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아시아에서 일본의 과학기술외교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9-28 00:00:00.000
내용 [ 중국의 과학기술 관련 정책 ] ○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 (2006 년 ~2020 년 ) - 기본방침 : 과학적 발전관 관철 , 과학교육 부흥 및 인재 강국 전략 , 자주적인 이노베이션 - 2020 년도 목표치 A R D 투자 : GDP 대비 2.5% 이상 (2010 년도까지 2.0% 이상 ) A 중국인에 의한 발명 특허 및 과학논문 인 용수 : 세계 5 위 이내를 목표 - 대상분야 A 단기적으로 돌파 가능한 기술 : 중점영역 11 분야 ( 에너지 등 ) A 중기적으로 기술공백이 있는 영역을 중심으로 : 중대 특정 프로젝트 16 건 ( 중핵 전자부품 , 달 표면 탐사 등 ) A 장기적으로 세계 최첨단 과제를 수행 : 첨단기술 8 분야 ( 바이오 , IT 등 ), 기초연구 ( 중대 과학연구계획 4 분야 등 ) ○ 제 11 차 오개년 계획 (2006 년 ~2010 년 ) 의 과학기술정책 개요 - 제 11 차 오개년 계획도 장기계획의 내용을 답습 - 과학적 발전관에 기초한 지속가능한 발전 A 과학기술에 의한 발전 A 경제성장의 과열 및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 등 , 여러 가지 경재 , 사회문제에 과학적인 사고로 대응 - 과학교육 부흥 전략과 인재 강국 전략 A 과학기술 이노베이션을 통한 비약적인 발전 - 자주 이노베이션의 추진 : 중대 특정 프로젝트의 개시 - 자주 이노베이션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 정비 A 이노베이션의 의식과 능력이 풍부한 인재 육성 - GDP 대비 R D 투자를 2.0% 로 책정 A 2010 년 GDP 목표치는 26.1 조엔 (100 엔 =1, 1,323 원 , 2009.9.29 ) [ 한국의 과학기술 관련 정책 ] ○ ldquo; 저탄소 녹색성장 rdquo; 전략 ○ ldquo;577 이니셔티브 rdquo; - GDP 대비 R D 투자를 5% 이상 , 7 개 중점분야 및 7 개 시스템 개혁에 의한 7 대 과학기술 대국 수립을 목표 - 기초연구 투자 등 장기적인 시야에서의 과학기술 및 이노베이션 정책에는 연결되지 않음 - 포스트닥터를 포함한 젊은 인재의 고용문제를 해결 ○ 녹색기술연구개발 종합대책 (2009 년 ) - 비전 : 녹색기술 선진화에 의한 그린 강국 건설 - 3 대 목표 : (1) 녹색과학기술력 A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 80%(2012 년 ) A 90%(2020 년 ) (2) 녹색산업 경쟁력 A 녹색기술 고용창출 : 16 만명 이상 (2012 년 ) A 세계 시장 점유율 : 7% 이상 (2012 년 ) A 10% 이상 (2020 년 ) (3) 환경지속성 A 환경지속성 지수 : 세계 20 위 이내 (2012 년 ) A 10 위 이내 (2020 년 ) - 위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녹색기술에 대한 투자를 2012 년에는 2008 년 실적의 2 배 이상 (1 조원 A 2 조원 ) 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2008 년도부터 2012 년 사이에 누적 투자를 7.3 조원 이상 계획 [ 일본의 과학기술 외교 ] 1. 아시아 , 아프리카 연구협력 및 공동연구 프로젝트 채택률 ○ 지구규모 과제 대응형 프로젝트 - 2008 년 : 환경에너지 ( 온난화 대책 ) A 18.2%, 환경에너지 ( 지구규모과제 ) A 5.5%, 자연재해 A 10.7%, 감염증 A 9.1% [ 지역 : 아시아 6 건 , 아프리카 3 건 , 기타 3 건 ] - 2009 년 : 환경에너지 ( 온난화 대책 ) A 21.1%, 환경에너지 ( 바이오 ) A 12.2%, 환경에너지 ( 지구규모 과제 ) A 6.9%, 자연재해 A 22.7%, 감염증 A 14.3% [ 지역 : 아시아 10 건 , 아프리카 6 건 , 기타 5 건 ] ○ 국제공동연구 ( 아시아 , 아프리카 ) - 2009 년 : 제안건수 74 건 , 채택건수 11 건 A 15% 2. ldquo; 과학기술외교 rdquo; 제도 설계 ○ ldquo; 협력 rdquo; 과 ldquo; 경쟁 rdquo; 의 균형 ○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 로부터 과학기술정책으로의 원활한 이행 A ODA 프로젝트와의 연대 , ODA 졸업국과의 지속적인 협력 ○ 정보수집 , 분석능력 향상 ( 국제정세의 분석과 니즈 (needs) 의 정확한 파악 ) ○ 인적교류 촉진과 백업 (back-up) 체제의 정비 ○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비정부기구 ), 민간기업 등과의 연대 강화 ○ 민감기술의 관리체제 정비 3. 아시아 연구지역 구상의 검토 ( 아시아 과학기술 공동체 구상 ) ○ 한중일에서 상징적인 프로그램 ( 공동 실험시설 ) 에 의한 성공 사례 수집 ○ 젊은 인재의 교류 기회 확대 ( 과학캠프 지원 ) ○ 공동연구를 위한 기금 설립 ○ 과학기술 외교 액션 플랜 : ldquo; 과학기술외교 rdquo; 제도 설계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26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