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영국, 인공생명창조에 대한 과학자들의 비판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10-11 00:00:00.000
내용 지난주 미국의 생명공학자이며 인간유전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크레이그 벤트(Craig Vent)가 자신의 연구팀과 함께 최초로 인공합성 유전체를 이용한 생명체 창조에 성공했다는 발표가 있었다. 표면적으로 이 뉴스는 엄청난 함의를 지닌 놀라운 뉴스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하지만 이 발표가 있자마자 많은 과학자들은 벤트의 연구진이 이룩한 실험성과가 실제로는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다고 비판하고 있다. 벤트의 연구성과에 대해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분자생물학과의 교수로 있는 닉 게이(Nick Gay) 교수는 비판적인 논평을 내놓았다. 그에 의하면 비유적으로 벤트의 연구성과는 마치 자동차 부속품의 일부를 선택하여 자동차를 만들어놓고 새로운 자동차를 발명했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은 논리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는 “디자이너 유전체의 발전으로 연결되는 거대한 도약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번 실험은 단순히 가장 조잡한 형태의 경솔한 환원주의적 접근으로 이번 연구접근방식은 세포발전과정의 근본적인 성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사실 이러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지난 50년 동안 세포분자생물학을 연구하는 전세계의 수천 명의 과학자들의 연구에 근거한 것이며 DNA복제나 RNA가 단백질로 전환하는 과정과 같은 기본적인 세포기능에 대한 정의에 근거한 것이다. 이러한 세포요소를 다시 재구성한다고 인공적인 조직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며 생명과정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돕는 것도 아니다. 벤터는 자신의 발표와 함께 이번 인공생명체 창조가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의 장을 열고 지구온난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식물의 효소가 좀 더 효율적일 수는 있다. 하지만 현재 세계는 벤터의 인공생명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식물효소의 개발은 현존하는 유전적 조작방법으로도 충분하다. 다른 기사에서 벤터는 벤터 자신의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http://www.guardian.co.uk/science/2007/oct/06/genetics ). 이와 같은 주장은 자기중심적이며 다른 단일유전체 염기서열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있으며 필요하다. 하지만 자신의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죽음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로 바보스러운 주장이다. 대부분 인간의 질병은 주변환경과 인간의 많은 유전자가 복잡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일어나는 것이다. 이들 다원 유전자 질병의 기원과 발전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았으며 염기서열 분석만으로는 그 해답을 찾을 수 없다. 또한 전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은 벤터의 연구와는 거의 관련이 없다. 이 연구는 1970년대 케임브리지의 프레드 생거(Fred Sanger)에 의해 발전되었다. 벤터는 인간 유전체 서열분석에 대한 특허권을 출원하기 위한 시도를 했으며 이를 통한 이윤을 얻으려고 하고 있다. 새로운 과학적 지식의 장을 열었다고 주장하는 위대한 과학적인 발전은 이번주 노벨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마틴 에반스 (Martin Evans)와 마리오 카페치 (Mario Capecchi) 그리고 올리버 스미시스 (Oliver Smithies)의 줄기세포의 발견과 연구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세포 및 발생생물학의 분야에서 혁명적인 성과이며 알츠하이머 병과 같은 인간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벤터의 인공생명체는 같은 수준의 연구가 될 수 없다. * yesKISTI 참조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209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