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NEDO 해외리포트 제125호(2008. 7. 2)에 게재된 '해외 생명과학, 바이오 기술 특집 보고서'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약제 배송시스템(DDS)의 개발과 상품화 현황(미국) 약제 배송시스템(DDS : Drug Delivery System)은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수량만큼 작용하는 조치와 기술을 말한다. 이 목적은 약제에 의한 치료가 가능한 영역을 넓히고, 약제의 이용효과를 높이며, 투약 량을 감소시키고, 부작용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약재배송의 다양한 혁신적 기법에 대한 최근의 동향을 소개하는 것이다. 2. 개별화 의료에 대한 대응 현황(미국) 본고에서는 지난 1년간(2007년도) 미국의 개별화 의료에 대한 최신 대응현황을 소개한다. 개별화 의료(Personalized Medicine)는 유전자 수준에서 개인의 체질적 차이를 파악하고, 질병의 원인, 병태를 형성하는 분자 #8228;유전자 이상에 관한 정보에 따라 치료효과를 최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계획적으로 수행되는 예방과 치료를 뜻한다. 치료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병태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유전적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유전정보 차별금지법의 성립(미국) (1) 유전정보 차별금지 법안이 하원 통과(2008년 5월 1일) 의료보험회사와 고용주가 개인의 유전정보를 토대로 하여 미국 시민을 차별화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이 미국 하원을 통과했다. 이 법안은 고용주와 의료보험회사가 소유하는 개인의 유전정보를 부정한 이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정한 것이다. (2) 부시 대통령이 서명하고, 유전정보 차별금지법이 성립함(2008년 5월 21일) 이 법에 따라 보험업계의 기본적인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고 미국 시민을 유전정보의 악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10년 이상 노력했다는 것이다. 4. 중기세포의 분화결정 메커니즘(미국) 줄기세포에는 특정한 세포를 분화하는 것과 분화하지 않고 줄기세포 그대로 남아있는 것이 있는데 이들은 어떻게 결정되는 것일까? 최근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실제 메커니즘은 매우 복잡하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세포의 분화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수 유전자의 집단적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5. ES세포 연구에 관한 법 개정(독일) 미국의 과학잡지 '셀'(2007년 11월호)에 인간(대인)의 피부세포를 이용해 ES세포와 비슷한 인공 다능성 줄기세포(iPS세포)를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으며, 신생아의 피부세포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iPS세포를 제작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ES세포가 없어도 인간(성인)의 세포를 사용하면 ES세포를 닮은 기능을 갖는 세포를 제작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윤리상의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획기적인 기술개발이라 할 수 있다. 6. 오리너구리의 게놈을 해독(미국) 오리너구리는 오리의 부리, 포유루의 다리, 비버(beaver)의 꼬리를 갖고, 알을 낳고, 독액을 내 #49117;는다. 이 동물이 1798년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었을 때 영국의 과학자들은 가짜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라 오리너구리가 기묘한 것은 그 외관뿐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리너구리의 DNA도 조류, 파충류, 포유류의 특징이 거의 같은 비율로 조합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발견함으로써 인간의 질병예방을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7. 핸드폰을 이용한 의료용 영상전송 기술(이스라엘, 미국) 핸드폰을 이용해 의료용 영상을 전송하는 기술이 한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방사선 진료를 받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컨대 도시 이외에 거주하는 사람, 현대적 의료시설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 거주하는 사람 등이 이 기술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8. 착용하는 생체 센서의 연구(EU) 본고에서는 EU의 제6차 연구개발 프레임워크 프로그램(FP6)의 특정 목적연구 프로젝트(STREP)로 실시된 바이오텍스(BIOTEX) 프로젝트의 성과보고 개요를 소개한다. BIOTEX는 착용 가능한 생체센서에 관한 연구이며, 그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는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개시연월 : 20005년 9월, 연구기간 : 30개월, 자금총액 : 310만 유로 (2중에서 유럽위원회가 190만 유로를 지원함)로 실시하였다. 9. 곡물가격 상승과 유전자 교환 작물을 둘러싼 최근의 동향(이탈리아) 최근에 곡물가격이 급상승함에 따라 유전자 교환 작물의 가부를 둘러싼 논의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본에서도 유전자 교환 작물에 관해 2007년에 식품안전위원회,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등에서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활동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의 동향은 앞으로 주목할 가치가 있다. 10. 영국의 생명과학, 바이오 기술 관련 동향 2008년 5월 29일에 영국의 4개 연구공동체는 새로운 연구영역인 합성생물학 프로젝트에 총 90만 파운드의 연구자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합성생물학은 새로운 생물학적 기능과 시스템을 창조하는 연구분야로 인공조직이 이 연구분야에 속한다. 각 연구공동체는 해당분야의 연구개발을 촉진하도록 대책을 강구한다. 11.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생명과학 연구에 2,000만 달러 투자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2008년 3월 20일에 브랜돈 생명과학 펀드1(BBF1 : Brandon Bioscience Fund1)에 대한 정부예산을 발표했다. BBF1에는 2,000만 달러가 배정되었다. BBF1은 의료기기, 치료학, 관련 진료학, 생명과학기술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소규모 벤처투자를 실시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