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호주국립도서관(NLA), 디지털 미래를 위한 투자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4-10-22 00:00:00.000
내용 호주국립도서관(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NLA)은 온라인 및 모바일 장치를 통해 액세스하는 3 페타바이트(Petabytes) 콘텐츠의 미래를 본다. 이미지 출처 :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invests in digital future http://www.cio.com.au/article/556019/national-library-australia-invests-digital-future/ 혁신적인 디지털 도서관 프로그램을 통해 호주국립도서관은 대규모 디지털 컬렉션을 관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관의 수백여 컬렉션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인프라를 재개발할 것이다. 도서관은 호주와 전세계 이용자를 위한 온라인 및 모바일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70,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매일 Trove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지난해 사용은 22,000,000명에 이르렀다. 자원 공유를 위한 호주국립도서관의 보조 사무총장인 Marie-Louise Ayres 박사는 CIO Australia에 말했다. 도서관의 디지털 자산이 현재 3 페타바이트를 초과했다. '도서관은 디지털 기술을 초기에 채택한 기관이다. 호주의 디지털 유산을 보존하는 것은 우선적이다.' 호주국립도서관의 자산은 13,000,000건 이상의 디지털 신문과 수천 수백 건에 달하는 디지털화 된 호주의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도서관은 이 컬렉션을 구축하기 위해 선택과 도메인 하베스팅(Domain harvesting)을 활용한다. 선택적 아카이빙은 직원이 가치가 높은 웹 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메인 하베스팅은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자료를 수집한다. 여러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콘텐츠 '우리는 여러 채널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고 Ayres 박사는 말했다. '이것은 디지털 개척자들(Digital pioneers)의 즐거움과 도전이었다.' 도서관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은, 100곳 이상의 도서관들, 박물관들, 기록관과 연구기관의 콘텐츠를 통합한 무료 검색 및 결합 서비스인 Trove를 통해 이루어진다. Trove는 온라인 서적, 신문, 지도, 음악 및 저널 기사의 광대한 카탈로그에 온라인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rove의 API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타 온라인 서비스 혹은 재사용을 위한 개별 기록과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허용한다. 트위터 팔로워의 영향 Trove는 7,000명 이상의 트위터 팔로워와 국가 컬렉션에 대한 흥미로운 자료의 트윗을 보유하고 있다. 호주국립도서관의 주요 트위터 계정은 23,000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트위터와 기타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은 시장 점유율 경쟁 및 보다 많은 팔로워 보유, 또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리트윗을 하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다. '이것은 온라인 공간에서 우리의 컬렉션 자료를 얻기 위한 것이다.' 라고 Ayres 박사는 이야기했다. 이는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또는 텀블러 외에도, 새로운 소셜미디어 공유 네트워크를 포함할 것이다. 도서관 이용자는 점차 온라인 또는 모바일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공유할 것이다. 호주국립도서관은 모든 서비스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일관성 있는 모바일 친화적 인터페이스 달성을 위하여 트위터 부트스트랩(Twitter Bootstrap)을 사용 할 것이다. '우리는 모바일 친화적인 전략을 가속화하고 싶다.' 라고 Ayres 박사는 이야기했다. 사람들의 개인 공간에 도달 도서관의 초점은 사람들이 자신의 개인 공간에서 보다 용이하게 자사의 컬렉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 디지털 여정은 공들여 설명하고, 공유하고, 경영하고 컬렉션을 디지털화하기 위한 수십년의 작업이 될 것이다. '누군가 트위터에 한곡의 음악을 찾기 위해, 우리는 그것을 디지털화하고 목록화하고, 획득할 필요가 있었다.'라고 Ayres 박사는 말했다. '그리고 우리는 그 기관의 뒤에서 콘텐츠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호주국립도서관은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반면, 장래에는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공유 국립 디지털 유산의 수호자로 호주 국립 도서관은 공용 클라우드의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부분을 염두에 두고 있다. '클라우드는 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 또는 국경간의 데이터 주권에 대한 우려가 있다.'라고 Ayres 박사는 이야기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4100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호주국립도서관;디지털;트로브;아이레스 2.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NLA;digital;Trove;Ay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