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논문 내 단백질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원하는 데로 본다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0-10-29 00:00:00.000
내용 엘스비어 사는 지난 해 11월 Reflect라는 도구를 Cell 저널에 시범적용하여 단백질, 분자, 세포에 대한 풍부한 사실데이터(Fact Data)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2010년 10월 25일에는 분자생물학저널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JMB)에서 단백질에 대한 사실데이터를 논문과 융합한(mash-up) 서비스를 발표했다. 이번에 적용한 단백질 뷰어 기능은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조정해서 볼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했다. 단백질 뷰어 (Protein Viewer)에 사용된 사실데이터는 구조생물정보학 공동연구실 RCSB (Research Collaboratory of Structural Bioinformatics)에서 제공하는 단백질데이터뱅크(PDB)다. (그림 출처: Mantri et al. (2010). Crystal Structure of the 2-Oxoglutarate- and Fe(II)-Dependent Lysyl Hydroxylase JMJD6. doi:10.1016/j.jmb.2010.05.054 ) 이번 도구를 발표하면서 엘스비어 사의 콘텐트 혁신 부사장 IJsbrand Jan Aalbersberg은 '이용자가 연구를 하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데이터를 이용자 친화형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참고로 Cell에 시범적용되었던 Reflect는 본문 내 단어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이용자가 클릭하면 관련 이미지와 정보를 팝업으로 보여주는 기능이다. - 관련 문헌 - 이상환, 심원식. (2009). 『과학 데이터 공유와 활용』. kisti 지식리포트(5) http://icon.ndsl.kr/i_report/report_v.jsp?record_no=231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0100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단백질; 이미지; 사실데이터; 생물정보학; 논문; 단백질데이터뱅크 2. Protein; Image; Fact data; Bioinformatics; Article; Protein Data Bank; P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