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2008년도 OECD 사실보고서(Factbook); 경제/환경/사회적 통계--환경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4-18 00:00:00.000
내용 수자원 소비 수자원은 환경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역마다 분포의 차이가 크다. 수자원을 필요로 하는 분야는 매우 다양하며, 수자원의 양과 질 모두 중요하다. OECD 회원국에서 채택된 정의 및 추정 방법은 나라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또 세월이 흐르면서 그 모습도 바뀌어 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본 문서에서 데이터 이용성 및 품질은 일반적으로 공공 용수의 추출에 가장 알맞다. OECD 회원국 대부분은 지난 1960~1970년대 농업 및 에너지 부문의 수요 증대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용수 추출을 증대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인구의 증가에 따른 공공 용수의 수요 증대로 보다 효율적인 기술과 인프라 개선 등을 통해 용수 추출의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어업 어업은 재속적인 수입과 고용 기회의 창출, 그리고 단백질 공급원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특정 지역에서 무리하게 조업을 하면 어자원의 고갈이라는 재난이 벌어질 수도 있다. FAO(유엔 식량농업기구: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의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해양 포획 총 생산은 2005년 9,380만 톤을 기록했다. 이 중 OECD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23%였다. 또 일본과 미국, 노르웨이, 한국 등은 OECD 총 생산의 67%를 차지했다. 그러나 OECD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10년간 3%나 감소했다. 한편, 1995~2005년 동안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의 생산은 매년 1% 이상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해양생산과학(aquaculture) 부문은 197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평균 8.8%씩 성장하고 있다. 이 중 OECD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기준 11% 이상이다. 이산화탄소의 배출 이산화탄소는 “온실 가스”의 주범이다. 이로 인한 지표 온도의 상승, 기후 변화, 해수면 상승, 농업 파탄 등이 일어나고 있다. 소각과 산업 공정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그리 많지 않아 본 통계에서는 제외하였다. 이산화탄소의 산정 기준은 개정된 1998년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국가 온실가스 가이드라인을 참조했다.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추정은 추정 시 기초로 삼는 에너지 데이터의 품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OECD 회원국이든, 비회원국이든 간에 자국의 선박과 항공기가 국외에서 사용한 연료에 대해선 정확히 정의하지 못하고 있다. 또 추정을 할 때 모든 국가에 똑같은 방법과 배출 요인을 적용하므로 국가 간 비교성이 상당히 우수한 편이다. 이산화탄소의 배출은 지난 1971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92%, 또는 해마다 평균 1.9%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OECD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66%이다. 비회원국 가운데 아시아 국가들의 이산화탄소 배출이 크게 늘었으며, 특히 중국의 경우 1971~2005년 사이 매년 5.6%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쓰레기 한 국가에서 발생하는 도시 쓰레기의 양은 해당 국가의 도시화 정도, 소비와 가구의 수익, 생활양식 등과 관계가 있다. 도시 쓰레기는 전체 쓰레기 발생의 일부에 불과하나, 공공 부문이 오염 통제를 위해 지출하는 재정의 1/3 이상을 차지한다. OECD 국가(총 30개국)에서 발생하는 도시 쓰레기의 양은 지난 198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에는 65,000만 톤을 넘어섰다. 도시 쓰레기의 증가는 민간 부문의 최종 소비 지출 및 GDP와 대체로 같은 선상을 달리나, 최근에는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었다. 농업 그리고 비료 사용 비료 관리안을 채택한 국가의 수가 늘면서 비료 과잉 현상이 줄긴 했지만, 환경에 해가 없도록 보다 낮은 수준으로 줄일 여지가 있다. 또 현재, 국가마다 비료 균형의 수준이 천차만별인 실정이다. 목차 환경 수자원 및 천연자원 - 수자원 소비 - 어업 대기 및 토지 - 이산화탄소의 배출 - 도시 쓰레기 - 농업 그리고 비료 사용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091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