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교과부, 제2차 한ㆍEU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3-04 00:00:00.000
내용 - EU와의 본격적인 과학기술협력 강화에 시동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유럽연합(EU) 유럽집행위(European Commission) 연구총국(DG-RTD)과 공동으로 3월 3(화)부터 3월 4일(수)까지 벨기에 브뤼셀에서 「제2차 한ㆍEU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였다. * DG-RTD : Directorate General for Research ○ 한국 측은 교육과학기술부 이은우 국제협력국장을 수석대표로 하고, 유럽연합(EU) 측은 연구총국 민치(Mary Minch) 국제협력국장을 수석대표로 하여 양측에서 39명이 참여하였다. ○ 한국과 EU는 3.3(화)~3.4(수) 분야별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였고, 3.3(화) 15:00~18:40 양측 수석대표 주관의 본회의를 개최하여 10개 분야의 협력의제에 대하여 논의하고, 연구개발(R D)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하였다. ○ 정부는 EU와의 연구개발(R D)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EU 공동연구개발(FP) 참여 지원 예산을 작년에 비해 약 3배 증액하였다. □ 이번 공동위에서는 협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기후변화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극지방 연구 협력 〉 ○ 기후변화와 관련한 중요성을 고려할 때, 한국과 EU는 연구인프라사업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는 것을 장려키로 하였다. - 특히 양측은 기후변화와 관련한 극지연구에서 세종과학기지의 공동활용 혹은 쇄빙선 아라온과 오로라보레알리스의 공동활용 등과 같은 협력 가능분야 발굴을 장려하고, 2008 유럽의 과학정책 발전전략 포럼(ESFRI Roadmap)에 포함된 스발바드 종합 북극지구관측시스템(SIAEOS : Svalbard Integrated Arctic Earth Observing System) 과제에 한국과학자들의 참여를 진흥키로 합의하였다. 〈 녹색성장 동력 : ICT 융합 바이오 로봇틱스 개발 연구 협력 〉 ○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과 로봇 기술을 융합한 유비쿼터스 로봇 기술과 유럽의 장점인 바이오 로봇(Bio-Robotics)기술을 결합한 “ICT 융합 바이오 로보틱스” 분야 협력 연구를 추진하여 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녹색 성장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과 EU의 R D 연구인력 교류 확대〉 ○ 한국과 유럽지역 연구자간의 인력교류를 확대하여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역량 강화와 연구기관간의 파트너십 구축을 위하여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합의 하였다. 〈 식품안전성 제고를 위한 측정표준 분야 협력 : CA 체결〉 ○ 2008년 멜라민 파동 등과 같은 국제적 이슈로부터 양측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식품안전성 검사의 상호인정과 식품안전 측정연구의 신뢰성과 정밀성을 높이기 위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 이를 위하여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유럽표준물질측정연구소(IRMM)간의 협력약정(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하였다. 〈 결핵ㆍ당뇨병 치료 신약 개발 추진 〉 ○ 양측은 유럽을 포함한 전세계 37개 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결핵백신 개발, BCG를 대체할 생백신 후보 탐색 및 동물실험을 이용한 백신 효율성 검증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 결핵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로 결핵환자수가 8만여명에 달함 ○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대사성질환인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이 분야의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한 유럽 연구기관들과의 공동연구를 진행하여, “단백질 수용체 신호전달 및 스크리닝 분석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 차기 제3차 한 EU 과학기술공동위원회는 2010년 우리나라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02-2100-6782 다자협력과 과장 김광호, 사무관 김주연, 주무관 용찬재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90014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