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NISO에서는 이번 신규 프로젝트에 관심있는 도서관, 도서관 시스템 공급업체, A I 서비스, 그리고 정보자원을 기술하기 위한 표준화된 어휘 및 메타데이터의 개발자 및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린다 . 미국 정보표준화기구(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이하 NISO)에서 투표권을 가진 회원들은 서지데이터의 보다 나은 교환 및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는 표준을 개발하고자 실시되는 3개의 신규 프로젝트를 승 인했다 . 이 프로젝트들은 앤드류 W. 멜론 재단으로부터의 연구 지원금을 받고 있는 NISO의 `서지 로드맵( Bibliographic Roadmap)`프로젝트의 사전 표준 계획안 들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한 다 .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은 세계적으로 네트워크화 된 정보 환경에서 새로운 서지 기술형식에 대한 요구사항 및 필요조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서지 분야에서 요구되는 활동들의 로드맵을 위해 관계자들간의 합의를 형성하는 것이 다 . 2014년 `서지 로드맵( Bibliographic Roadmap)`프로젝트 최종 보고서가 발행됨에 따라 , NISO CCM(Content and Collection Management)의 주제선정 위원회는 보고서의 권고사항들을 평가한 후, 우선순위 분야, 즉 '서지 어휘의 이용 및 재이용에 관한 정책', '서지 어휘의 도큐멘테이션 ', '서지 어휘의 장기적 유지 조건' 이 3가지에 중점을 둔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하였다. “서지 어휘를 관리하고 있는 단체들간의 어휘 차이는 때론 상호운용성에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라고 CCM 주제선정 위원회의 공동의장이자 Cengage Learning 출판사의 메타데이터 표준 및 서비스부 전무이사인 Marti Heyman은 설명했다. “ 또한 각 기관마다 품질관리, 유지보수 전략, 이용 정책 등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여기서 발생한 상이한 어휘들로 인해 극복해야 할 새로운 과제들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수집 데이터들이 계속 노후화되고 변화하기 때문에 이 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지 어휘 데이터의 출처가 매우 중요합니다. ” “서지 어휘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나 그렇지 않은 기관 모두, 서지 어휘의 이용 및 재이용과 관련한 정책들이 부족한 실정인데 이는 서지 어휘의 교환 및 상호운용성에 장벽이 됩니다. ”라고 CCM 주제선정 위원회의 공동의장이자 볼티모어대학교(University of Baltimore)의 Langsdale 도서관의 기술지원 서비스 및 콘텐츠 관리 부서장인 Betty Landesman은 밝히고 있 다. “또한 서지 어휘의 도큐멘테이션 은 이용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것이며, 이때 도큐멘테이션하는 최소 정보단위가 정의되어야만 합니다 . 많은 어휘들이 단기 투자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프로젝트가 끝나게 되면 어휘의 장기 지속성 및 장기 보존이 위험해 질 수도 있습니다 . 그러한 '고아(orphan) ' 어휘를 관리하고, 지원하는 지침들이 정의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들에 도서관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관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라고 NISO 제휴 프로그램부 대표인 Nettie Lagace는 말한다. “우리는 서지 기술형식의 설계와 구현에 관여하는 도서관들과 더불어, 이러한 새로운 표준 개발을 위해 전문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서관 시스템 공급업체, 색인초록 서비스(A I services), 정보자원을 기술하는 표준화된 어휘 및 메타데이터의 개발자 또는 이용자 등 다양한 기관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번에 승인된 서지 어휘 관련 프로젝트들의 제안서와 `서지 로드맵( Bibliographic Roadmap)` 프로젝트에서 생산한 최종 보고서는 NISO 웹사이트에서 이용가능하다 .( www.niso.org/topics/tl/BibliographicRoadmap/ ). 서지 어휘 프로젝트 워킹 그룹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관은 온라인 계약서( www.niso.org/contact/ ) 상에 세 개의 프로젝트 중 관심있는 프로젝트에 표시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