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잘못된 결과를 도출하는 fMRI 소프트웨어들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6-06-28 00:00:00.000
내용 현재의 뇌 분석 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은 추출된 데이터를 시뮬레이션된 데이터를 통해서 검증되고 있었는데 최근 스웨덴 LinkOping 대학의 연구원인 Anders Eklund가 훨씬 정확도가 높고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를 토대로 비교한 결과 대략 60% 이상의 케이스에서 잘못된 결과가 발견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Eklund 박사는 시뮬레이션의 경우 여러개의 가정을 토대로 진행이 되는데 이 가정들 중 한 두개의 가정만이라도 잘못되었다면 그를 통해 도출된 결과도 당연히 잘못되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Eklund 박사가 그의 박사 논문에서 이 문제를 제기했던 2012년 당시 한 사람의 샘플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가정에는 에러가 있을 수도 있으며 이 에러는 여러 명을 대상으로 해도 동시에 발현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 이 때문에, Eklund 박사는 그의 박사 논문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기존보다 수천배 이상 많은 연산을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가정을 도입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런 막대한 양의 연산은 최신 그래픽 카드의 연산 능력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었다. 그는 박사후 과정이 끝나던 2014년에도 자기가 제기한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는 채로 과거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분석이 계속 쓰이고 있는 것을 보고 자신이 직접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기로 하였다. 시간당 70만원 가까이 드는 fMRI 검사를 500명이나 되는 인원에게 한다는 것은 금전적으로 어려운 일이었으나 최근 들어 많은 연구자들이 그들이 모은 검사 결과를 서로 공유하기 시작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모울 수 있게 되었다. Eklund 박사는 일반 컴퓨터 연산으로 했을 경우 10년이 걸렸을 분석을 최신 그래픽 카드들의 연산 능력을 활용하여 겨우 20일만에 끝낼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 연구 결과는 Cluster failure: why fMRI inferences for spatial extent have inflated false positive rates라는 제목으로 PNAS 최신호에 실릴 예정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600030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뇌,시뮬레이션 2. fMRI,Brain,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