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Implementation Science* 라고 알려진 새로운 분야는 전 세계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주로 발생하는 HIV 바이러스의 모계 전이를 매년 약 150,000건 정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국립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연구팀과 관리자들은 모계 전이를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을 연구해왔으며, Journal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s 에 16개의 관련 기사를 발표하였다. Implementation science는, 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과 근거에 기초한 정책들을 어떻게 일상적인 치료와 의료 서비스에 접목할 것인지를 연구한다. 유럽에서는 lsquo;implementation science rsquo;, lsquo;research utilization rsquo;이 흔하게 사용되고, 미국이나 캐나다에서는 lsquo;dissemination and diffusion rsquo;, lsquo;research use rsquo;, lsquo;knowledge transfer and exchange rsquo; 등이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lsquo;지식 확산(knowledge translation) rsquo;의 개념으로 정립된다[1]. HIV의 모계 전이를 예방하는 PMTCT(Preventing mother-to-child transmission)의 효과적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지역 교회들과 연계하여 임신한 여성들을 위한 lsquo;베이비 샤워 rsquo;를 하고 HIV 테스트기를 선물로 주는 것은 HIV 양성 반응을 보인 사람들을 의료소에서 같은 혜택으로 치료하는 것 보다 2배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IV 검사를 제공하고 모유 수유, 가족계획, 가정의 다른 문제들을 상담해 주는 것은 의료소에 직접 방문하기를 꺼리는 남자들의 참여를 두 배 가량 높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출산 전 의료 진료를 받으러 오는 여성들에게 현금 성과금을 지급해주는 것은 초기에는 효과가 있지만 항레트로바이러스제까지 처방할 수 있는 단계로는 나아가지 못했다. 임신 중에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것은 빠른 바이러스양의 감소를 나타내지만 95%이상은 출산 전에 하나 이상의 부작용이 발견되므로 낮은 처방을 준수하도록 한다. 휴대 가능한 장치를 사용하여 현장진단 테스트를 배포하는 것은 아이들이 적시에 약물치료를 시작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Implementation science는 환자의 건강을 개선하고 더 효과적인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며, 보건의료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지식의 합성, 지식의 확산, 지식의 활용을 이끄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생소한 분야이지만 외국에서는 보건정책 담당자들이 체계적인 지식 확산의 필요성을 미리 인지하고 전담기구를 설립하여 장려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1] 김남순, 보건영역 근거활용에 필요한 지식확산체계:의료기술평가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