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베이징시 기초연구 강화로 혁신산업 촉진 (*환율: 런민비 1위안=한화 약 180.69원 / 2011.11.28 기준) ○ 배경 - 베이징시는 기초연구를 강화하여 최근 혁신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11-5기간에는 베이징시 전체에 걸쳐 359개의 프로젝트에서 국가자연과학상, 국가기술발명상, 국가과학기술진보상 등을 획득했으며, 특허 신청량과 권한위임량은 10-5기간 말 각각 22,572건, 10,100건이었던 것이 2010년 말에는 57,296건, 33,511건에 이르렀다. ○ 내용 1. 주요 업무내용과 성과 (1) 기초연구 투입 규모가 부단히 확대되었다. - 11-5기간, 베이징시 기초연구 경비는 총 59,487만 위안(한화 약 1,075억 원)이었다. - 베이징시 자연과학기금은 베이징시의 기초연구를 지원하는 중요한 루트가 되었는데 경비 규모는 2005년의 3,500만 위안(한화 약 63억 원)에서 2011년에는 5,760만 위안(한화 약 104억 원)으로 늘어나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베이징시 전체 R D 경비는 10-5기간 말의 379.5억 위안(한화 약 68,572억 원)에서 2010년에는 758억 위안(한화 약 136,963억 원)으로 늘어나 R D 투입강도 기준 전국 1위를 차지했다. (2) 국가 기초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 실력과 경쟁 의지가 강하다. - 11-5기간, 베이징시는 973 계획 프로젝트 과제를 총 1,017건, 중대 과학연구 계획 프로젝트 과제는 694개, 국가 자연과학기금 프로젝트는 21,979건 수주했는데, 그 가운데 중대 프로젝트, 중점 프로젝트, 우수청년기금 프로젝트는 각각 66건, 697건, 332건에 달해 전국 총 수량의 41.5%, 36.6%, 36.6%를 차지했다. - 베이징시 소속 기관의 기초연구 수준도 부단히 높아져서 국가 과학기술 계획에 참여하는 경쟁능력이 점차 강화되어 왔다. - gt;예컨대, 베이징공업대학은 11-5기간에 자연과학기금의 각종 프로젝트를 349개 수주했고, 중점 프로젝트는 8개를 수주해, 10-5기간 대비 각각 2.5배, 1.6배 성장세를 보였다. (3) 과학기금 기초조건 지원체계가 점차 완비되었다. - 베이징시는 국가급 중점 실험실, 공정(기술)연구센터 등 과학기술 혁신플랫폼을 결집시켰는데 이는 전국 총 수량의 30% 이상을 차지했다. - 현재 베이징시 전체에는 국가실험실이 3개, 국가중점실험실 86개, 국가공정실험실 32개, 국가공정기술연구센터가 61개, 국가 공정연구센터가 40개이다. - 이러한 과학기술 혁신플랫폼은 중국의 기초연구 수준을 높이고 연구 인재의 육성기지, 중국 내외 학술교류의 센터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 수도 과학기술 조건 플랫폼은 423개의 중점실험실과 공정센터의 과학연구 계측설비를 개방, 공유하고 7,000여 개의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도 과학기술 자원이 사회에 개방, 공유되게끔 촉진하는 lsquo;베이징 모델 rsquo;을 탐색한다. - 100여 개의 산업기술연맹이 연합 연구개발, 성과전환 등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발휘 중이다. (4) 베이징시 자연과학기금의 영향력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 베이징시 자연과학기금은 설립 이래 응용 기초연구를 중점적으로 지원하였는데 혁신 자원을 육성하고 활성화하는 분야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등 수도 지역 과학기술 혁신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되어 왔다. - 11-5기간, 베이징시 자연과학기금의 자금지원 프로젝트는 총 1,839건이었는데 그 가운데 중대 프로젝트가 14건, 중점 프로젝트가 93건으로 우수한 혁신 프로젝트가 수준높은 연구성과를 거두었다. - 베이징시는 세계 일류 학술저널을 통해 논문을 6,000여 편 발표하고 163개의 프로젝트가 성과전환을 실현하였으며 44개의 성과는 국가자연과학상, 기술발명상, 과학기술진보상을 수상했다. (5) 시급 중점실험실 인증 등 업무를 활발히 전개함으로써 시소속 대학교 건설이 발전했다. - 2010년, 베이징시 과학기술위원회는 베이징시 중점실험실 및 공정기술연구센터의 인증업무를 개시했는데 이를 전후로 하여 , 등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 지금까지 의료 위생, 전자정보 등 분야에서 인증한 베이징시 중점실험실은 119개로, 그 가운데 대학교 및 과학연구소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1.3%에 달했고 신소재, 전자정보 등 분야에서 인증된 베이징시 공정기술연구센터는 78개로 그 가운데 기업 비중은 64.1%였다. - 베이징시의 과학기술계획 관련 자금 지원 하에서 11-5기간, 베이징시 시소속 대학교의 학과 건설은 큰 발전을 이루어 국가중점학과가 10-5기간 말의 5개에서 현재 15개로 늘어났으며 우수한 학과, 특색있는 학과가 성장하게 되었다. (6) 인재 육성 분야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 베이징시 과학기술 샛별계획은 1993년 베이징시 정부가 청년과학인재 육성 계획을 수립한 이래, 현재까지 해당 계획은 이미 베이징시 인재성장 전략에 편입되어 수도 인재 육성업무의 중요한 구성 성분이 되었다. - 2010년까지, 총 18차례에 걸쳐 1,475명의 인재가 lsquo;과학기술 샛별 계획 rsquo;에 선발되었다. 2. 차기 업무 방향 (1) 연계업무를 전면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혁신능력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린다. - 에 따르면 국가 과학기술 중대 프로젝트와 중대 과학기술 기초시설 건설을 중점으로 삼아 중대 과학기술 성과 전환을 추진한다. (2) 조직을 강화하여 관리제도와 정책을 완비한다. - 베이징시 자연과학기금이 응용 기초연구에서 갖는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하여 세계 도시 건설에 필요한 응용 기초연구 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3) 기초연구 인재 육성제도를 더욱 완비한다. - 기초연구 인재 육성 계획을 완비하고 단계형 인재 육성 자금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4) 응용 기초연구에 대한 투입을 늘려 기업이 응용기초 연구업무에 참여하게끔 한다. (5) 일련의 과학기술 혁신기지를 결집하고 강화하여 차세대 기술, 바이오 등 전략적 신흥산업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