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NASA 는 향후 10 년 간 미국의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에 총 990 억 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다 . 이렇게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니 , 자연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 이에 , 백악관 과학 기술 사무국 (OSTP) 은 현재와 미래의 활동 계획에 대해 독자적 검토를 실시해 줄 것을 요청하였고 , 다양한 전문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 우주 운용 (space operations) 은 인류가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임에도 , 목표와 그 목표 달성에 필요한 자원이 서로 맞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 이제 우주 탐사는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사업 분야가 되었고 , 많은 국가들이 NASA 와 맞먹는 연간 예산을 자국의 우주 프로그램에 투입하고 있다 . 또 우주 상업의 싹이 트기 시작한 이때 , 정부는 잘만 하면 예산을 줄일 수 있는 기회도 잡을 수 있는 것이다 . 정부가 제 아무리 좋은 계획을 만들고 좋은 협력 관계를 수립하고 상업 세력을 끌어 들여도 , 목표 달성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지 못하면 말짱 헛것이다 . 또 탑승자의 안전도 고려해야 하는데 , 참고로 본 문서에서는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개념은 아예 싣지를 않았다 .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는 도달할 수 있는 목적지 보다는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 목적지는 목표에서 나와야 한다 . 유인 우주비행의 다음 단계에 대해 지구 저 궤도의 너머로 이동하는 것으로 미국 내의 여론이 모아졌다 . 이를 실현할 경우 ,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 상업적인 산업을 발달시키며 , 추가 탐사에 필요한 전문성도 구축할 수 있다 . 위원회는 우주 탐사의 궁극적 목표가 , 인류의 태양계 진출을 위한 경로 개발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 위원회의 과제는 미국의 유인 우주비행 계획을 검토하여 가능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 위원회는 현재의 유인 우주비행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프로그램과 , 장래에 필요할 수 있는 기술과 역량 , 동 분야에서 상업계가 할 수 있는 역할 , NASA 의 국제 협력처 등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여 , 총 5 가지의 통합 대안을 제시하였다 ( 본문 참조 ) NASA 는 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올리는 우주 기관이다 . 그러나 이러한 NASA 의 유인 우주비행 활동은 현재 , 목표와 자원의 부조화로 위기에 처해 있다 . 자금을 더 투입해서 활동이 가능하게 만들던지 , 탐사가 거의 포함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계획해서 채택하든지 , 어느 한 쪽을 선택해야 할 처지이다 . 적절한 자금만 투입되면 아주 신나고 값어치 있는 기회가 될 옵션은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다 . 자금에 관한 한 , 여러 방법을 통해 조달할 능력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미 국민은 NASA 가 지난 날 쌓아 놓은 업적에 대해 자긍심을 갖고 향후의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을 통해 강대국의 자부심을 느껴보길 바란다 . 목차 서문 요약 제 1 장 도입 제 2 장 미국의 유인 우주비행 : 역사적으로 평가하기 제 3 장 탐사 목표와 궁극적 목표 제 4 장 현행 유인 우주선 프로그램 제 5 장 저 지구 궤도와 그 너머로의 발사 제 6 장 프로그램 옵션과 평가 제 7 장 탐사를 지속시키는 데 중요한 기술 제 8 장 협력관계 제 9 장 관측을 마치며 부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