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 NASA, 강대국에 걸맞는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0-29 00:00:00.000
내용 NASA 는 향후 10 년 간 미국의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에 총 990 억 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다 . 이렇게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니 , 자연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 이에 , 백악관 과학 기술 사무국 (OSTP) 은 현재와 미래의 활동 계획에 대해 독자적 검토를 실시해 줄 것을 요청하였고 , 다양한 전문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 우주 운용 (space operations) 은 인류가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임에도 , 목표와 그 목표 달성에 필요한 자원이 서로 맞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 이제 우주 탐사는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사업 분야가 되었고 , 많은 국가들이 NASA 와 맞먹는 연간 예산을 자국의 우주 프로그램에 투입하고 있다 . 또 우주 상업의 싹이 트기 시작한 이때 , 정부는 잘만 하면 예산을 줄일 수 있는 기회도 잡을 수 있는 것이다 . 정부가 제 아무리 좋은 계획을 만들고 좋은 협력 관계를 수립하고 상업 세력을 끌어 들여도 , 목표 달성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지 못하면 말짱 헛것이다 . 또 탑승자의 안전도 고려해야 하는데 , 참고로 본 문서에서는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개념은 아예 싣지를 않았다 .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는 도달할 수 있는 목적지 보다는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 목적지는 목표에서 나와야 한다 . 유인 우주비행의 다음 단계에 대해 지구 저 궤도의 너머로 이동하는 것으로 미국 내의 여론이 모아졌다 . 이를 실현할 경우 ,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 상업적인 산업을 발달시키며 , 추가 탐사에 필요한 전문성도 구축할 수 있다 . 위원회는 우주 탐사의 궁극적 목표가 , 인류의 태양계 진출을 위한 경로 개발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 위원회의 과제는 미국의 유인 우주비행 계획을 검토하여 가능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 위원회는 현재의 유인 우주비행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프로그램과 , 장래에 필요할 수 있는 기술과 역량 , 동 분야에서 상업계가 할 수 있는 역할 , NASA 의 국제 협력처 등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여 , 총 5 가지의 통합 대안을 제시하였다 ( 본문 참조 ) NASA 는 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올리는 우주 기관이다 . 그러나 이러한 NASA 의 유인 우주비행 활동은 현재 , 목표와 자원의 부조화로 위기에 처해 있다 . 자금을 더 투입해서 활동이 가능하게 만들던지 , 탐사가 거의 포함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계획해서 채택하든지 , 어느 한 쪽을 선택해야 할 처지이다 . 적절한 자금만 투입되면 아주 신나고 값어치 있는 기회가 될 옵션은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다 . 자금에 관한 한 , 여러 방법을 통해 조달할 능력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미 국민은 NASA 가 지난 날 쌓아 놓은 업적에 대해 자긍심을 갖고 향후의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을 통해 강대국의 자부심을 느껴보길 바란다 . 목차 서문 요약 제 1 장 도입 제 2 장 미국의 유인 우주비행 : 역사적으로 평가하기 제 3 장 탐사 목표와 궁극적 목표 제 4 장 현행 유인 우주선 프로그램 제 5 장 저 지구 궤도와 그 너머로의 발사 제 6 장 프로그램 옵션과 평가 제 7 장 탐사를 지속시키는 데 중요한 기술 제 8 장 협력관계 제 9 장 관측을 마치며 부록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292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