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유럽, 바이오뱅크의 조화 및 네트워킹 전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5-18 00:00:00.000
내용 유럽 , 바이오뱅크의 조화 및 네트워킹 전망 인간 게놈 (genome) 의 서열화 (sequencing) 는 단일유전자의 희귀 질병보다는 다인성 질환에 대한 연구를 크게 촉진시켰으며 , 이는 표적치료 모델 ( 예 : 맞춤형 약물치료 ) 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 그러나 , 이 과정은 확실한 질병 - 게놈 프로필 관계를 확립하는 능력에 따라 좌우되며 , 이를 위해서는 대규모 유행병학 연구와 대표적인 환자그룹의 표본이 필요하다 . 이러한 이유로 , 바이오뱅크 (biobank) 는 연구와 맞춤형 의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 바이오뱅크는 생물학적 표본과 관련 데이터로 구성된 체계화된 수집물이다 . 바이오뱅크는 연구를 위한 주요 인프라로서 점차 인식되고 있는 동시에 , 바이오뱅크의 수집 , 저장 , 동의 절차에서의 매우 다양한 실행방식은 표본과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한시켜 국제적 연구 및 협력의 장애물이 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에서 , 최근의 한 연구에 따르면 , 생물학적 표본의 공유 및 연계의 제한은 약물유전학과 같은 연구에서 주요 장애물로 작용한다 . 현재의 다양한 관련 규정도 바이오뱅크의 공공보건 이익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 따라서 , 바이오뱅크의 실행에 관한 접근방식의 조화와 , 기존의 또는 새로운 수집물의 네트워킹 개선이 강력히 요구된다 . 그러나 , 바이오뱅크의 네트워킹 및 조화와 관련한 실제 활동 수준과 영향이 완전히 평가되지 않고 있다 . 이러한 불확실성을 일부 해결하고자, 유럽 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의 미래기술연구소 (Institute for Prospective Technological Studies) 와 유럽 과학기술관측소 (European Science and Technology Observatory) 는 공동으로 본 조사에 착수했다 . 이 조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ndash; (a) 유럽과 전세계의 바이오뱅크에 관한 지식 습득 , (b) 바이오뱅크의 네트워킹 및 조화를 위한 관련 선택안과 과제의 분석 . ㅇ유럽과 전세계의 바이오뱅크에 관한 지식 습득 본 조사의 첫 단계는 현재 연구를 위해 표본을 수집하는 유럽 바이오뱅크들의 실행을 기술적 측면 ( 예 : 저장 여건 ) 과 거버넌스 , 윤리적 측면 ( 예 : 표본 및 데이터의 공유 , 동의 절차 , 협력 등 ) 에서 모두 조사하는 것이다 . ㅇ바이오뱅크의 네트워킹 및 조화를 위한 관련 선택안과 과제의 분석 전문가들은 현재 수많은 바이오뱅크 간의 협력과 네트워킹을 증진해야 하며 , 유럽 및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 예를 들어 , 인프라의 개발을 통한 바이오뱅크 자원의 효율적인 체계화는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촉진하고 , 진단법과 치료법의 개선을 위한 R D 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목차 - 서론 - 유럽과 전세계의 바이오뱅크 활동 - 유럽의 바이오뱅크 네트워킹 : 과제와 기회 - 결론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129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