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과학에서의 지식 생산 프로세스' 연구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11-04 00:00:00.000
내용 1. 개요 ○ 과학기술정책연구소는 일본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과학에서의 지식 생산 프로세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 조사를 통해, 과학 연구에서의 다양한 인재나 연구관리의 중요성, 과학 연구의 불확실성, 연구 프로젝트가 창출하는 특허 출원이나 공동 연구·수탁 연구, 표준 등의 포괄적인 상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2. 조사 결과 가. 인재의 다양성이 높은 연구팀 형성이 연구 프로젝트 실시에서 중요하다. ○ 과학 연구의 대부분이 개인은 아닌 팀으로 실시한다. 조사 대상인 약 2,100건의 논문중, 단독 저자의 비율은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고피인용도 논문 산출군)에서 3.0%, 통상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통상군)에서 6.9%이었다. ○ 논문 저자의 전문 분야, 전문 스킬, 출생 국가, 소속 분야에 대한 조사 결과,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가 인재의 다양성이 높은 경향이다. - 복수의 전문 분야를 조합한 저자 구성(분자생물학·유전학과 컴퓨터과학 등)의 비율은 고피인용도 논문 산출군에서 48%, 통상군에서 40%이었다. 또, 외국이 출생 국가인 연구자를 포함하고 있는 비율은 고피인용도 논문 산출군에서 48%, 통상군에서 31%이었다. 나. 연구관리가 지식 생산의 퍼포먼스에 큰 영향을 끼친다. ○ 톱 1% 논문을 창출한 연구 프로젝트와 통상 논문을 창출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연구관리 경향에 큰 차이가 있었다. - 다양성 높은 연구팀(스킬의 다양성, 분야의 다양성, 신진 연구자의 참가)의 형성, 신분야 개척을 위한 연구자 커뮤니티의 확립, 과학 발전 방향의 응시와 함께 야심적인 연구 목표의 설정이 톱 1% 논문을 창출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높은 비율로 실시되고 있었다. 다. 과학 연구는 불확실한 과정이며, 뛰어난 연구 성과는 종종 불확실성을 살린 것이다. ○ 톱 1% 논문에는 상당한 비율(32%)로 연구자의 예상을 크게 웃도는 연구 성과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비율은 통상 논문(14%)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 한편, 조사 대상인 논문에서, 주요 성과가 얻어진 과정이 '계획대로'로, 주요 연구 성과의 내용도 '예상대로'라고 회답한 비율은,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에서 11%, 통상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에서 18%에 불과하였다. 라.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가 다수의 논문을 창출하며, 특허나 공동 연구·수탁 연구 등으로 결합되는 비율이 높다. ○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는 통상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의 약 2배의 논문을 창출하였다. (창출된 논문수(중앙값)는 전자에서 15건, 후자에서 7건) ○ 또,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가 특허 출원 등의 아웃풋이나 신생 기업 등 임팩트에 결합되는 비율도 높았다. 특히,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는 아웃풋이나 임팩트에 결합된 비율이 통상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의 1.3배 이상이었다. 마. 연구의 실질적인 담당자로서 박사 과정의 대학원생이나 포스트닥터가 논문에 크게 관여하고 있다. ○ 박사 과정의 대학원생이나 포스트닥터는 연구의 실질적인 담당자(제1저자)로서 논문에 크게 관여하고 있었다. (대학 등의 고피인용도 논문 산출군에서 37%, 통상군에서 29%). - 특히, 생명과학분야에서는 대학원생(박사 과정)과 포스트닥터는 제1저자로서의 관여가 컸다. (대학 등의 고피인용도 논문 산출군에서 50%, 통상군에서 39%). ○ 또, 포스트닥터가 제1저자로 관여하는 비율은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가 통상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와 비교해 높았다. (대학 등의 고피인용도 논문 산출군에서 20%, 통상군에서 9.3%). 바. 많은 연구 프로젝트는 내부 자금과 외부 자금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운영비 교부금 등에 근거한 교비 등 내부 자금을 이용하고 있었다.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의 75%, 통상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의 85%) ○ 또, 많은 연구 프로젝트가 복수의 연구 자금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톱 1% 논문이 발표된 연구 프로젝트는 과학연구비 보조금 등의 외부 자금을 다수 이용하고 있었으며, 연구 자금의 액수도 큰 경향이다. - 이는 복수의 연구 자금 제공기관이 그 진전 단계에 따라 유망하고 자금 수요가 큰 연구 프로젝트를 선별해 많은 연구 자금을 공급하거나, 연구 프로젝트를 복안적으로 평가하는 기능이 실현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목차 - 제1부 조사 결과 1. 조사 배경과 목적 2. 조사 개요 3. 조사 대상인 논문의 특징 4. 연구 프로젝트의 동기와 연구의 불확실성 5. 연구 경쟁 6. 연구 매니지먼트 7. 연구팀 8. 연구 프로젝트로의 인풋(인재와 자금) 9. 연구 프로젝트의 아웃풋 및 임팩트 제2부 조사 방법 1. 회답자 선정 2. 질문표 설계 3. 조사 실시 4. 집계 방법 5. 회답 상황과 회수 편향(Bias) 6. '과학에서의 지식 생산 프로세스' 워크샵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294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