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산자부, 나노기술의국제표준화한국이주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6-09-01 00:00:00.000
내용 - 나노광학현미경 측정법이 ISO 국제규격으로 처음 채택 - □ 우리나라의 나노기술은 세계 4위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나노기술 산업화를 위한 표준분야에 있어서는 주도권을 쥐고 국제표준의 신규 제안, 기술위원회 설립 및 운영에 적극 참여하고 있음 ※ 미국 UPI통신은 뉴욕에 본사를 둔 나노기술 조사 분석 기관인 '룩스 리서치'의 조사 결과 한국의 나노기술 수준은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이라고 보도 □ 우리나라는 2003년 반도체용 나노박막의 불순물 분석방법을 국제규격화 한데 이어 2004년 원자현미경 분야 ISO 국제간사 및 의장수임과 초고집적 반도체 박막의 성분분석법을 국제규격으로 채택과 더불어 2006년에는 IEC(국제전기위원회)내에 나노분야 기술위원회(TC 113) 설립('06. 5)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탄소나노튜브의 평가방법도 세계최초로 제안('06.3.15)하는 등 현재 3개의 규격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되어 진행 중임 ㅇ 아울러 올해 12월에는 ISO 나노기술 표준화 총회도 우리나라에서 개최함에 따라 나노기술표준화의 세계적인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음 ※ ISO에서는 나노기술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한 기술위원회(TC 229 : 나노기술)를 '05년 4월에 설립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6006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산자부, 나노기술의국제표준화한국이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