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식욕 조절을 도와주는 뇌 세포 발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6-05-25 00:00:00.000
내용 식욕을 조절하고 비만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세포가 발견되었다.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전구체 (oligodendrocyte precursors) 라 불리기도 하는 NG2-glia 세포는 뇌의 여러 부위에 존재하지만 정중융기 (the median eminence) 라 불리는 조직에서 발견되는 NG2-glia 세포가 특별히 체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Leptin 이라는 호르몬은 우리의 식욕을 조절하는 주요한 인자로, 지방 세포로 부터 생산되어 혈액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포만감을 느끼게 하여 음식 섭취를 중단할 수 있게 작용한다. Leptin 의 수용체가 발견되었지만, 뇌의 어느 부분이 관여하고 어떻게 leptin 이 감지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캐나다 맥길 대학의 연구원들은 시상 하부의 기저에 위치한 정중융기의 NG2-glia 세포라는 특정 그룹의 세포가 존재하지 않을 때 뇌의 leptin 수용체가 몸으로 부터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이 정중융기는 호르몬과 혈액내 다양한 분자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중심 부위이다. 연구진은 이 정중융기 안의 NG2-glia 세포를 죽일 수 있는 약을 쥐에 투여하여 먹이를 섭취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약을 투여하기 시작한 뒤 3일 이내에 일부 쥐들은 약을 투여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많은 먹이를 섭취하기 시작하였고, 30일이 되면서 몇몇 쥐들은 몸무게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두 배에 이르기도 하였다. 또한 NG2-glia 세포가 다른 뇌의 조직에서 발견되더라도 오직 정중융기에서 NG2-glia 세포가 제거된 경우에만 체중 증가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유전적으로 변형된 쥐나 방사선에 조사된 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서도 식욕 조절에 있어 정중융기 안의 NG2-glia 세포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은데, 이를 통해 항암치료의 생존자들이 체중이 증가하는 현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Cell Metabolism 2016, 23(5) 797 ndash;810 에 발표되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600020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렙틴 센싱, 몸무게 조절, 엔지2-글리아 세포, 정중융기, 비만 2. Leptin sensing,Body weight control, NG2-glia, The median eminence,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