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독립행정법인, 국립대학법인 등의 과학기술 활동(2010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07-20 00:00:00.000
내용 ※100엔=1,467.63원(2012.7.23) □ 조사 목적 ○ 과학기술 입국 실현을 위해서 독립행정법인, 국립대학법인 등은 우수한 인재 육성 및 창조적·첨단적인 연구 개발의 추진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 ○ 그 활동 재원을 보면, 운영비 교부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예산 편성 단계에서는 그 내용이나 배분액 등의 파악에 한계가 있음 ○ 이에, 사후적으로 독립행정법인, 국립대학법인 등의 과학기술 관계 활동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각종 지표 등을 활용하여 활동 상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표함 □ 연구 개발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독립행정법인 ○ 수입과 지출 - 전체 법인의 수입은 9,998억엔(2009년 대비 2.6% 감소), 지출은 9,679억엔(5.3% 감소)이며 2009년부터 감소 - 수입에서는 운영비 교부금(6,487억엔, 2009년 대비 4.5% 감소)이 수입 전체의 64.9%를 차지 - 지출에서는 연구비(6,248억엔, 2009년 대비 3.4% 감소)가 64.6%, 인건비(2,274억엔, 3.5% 증가)가 23.5%를 차지 ○ 직원 상황 - 전체 법인의 직원수는 35,048명(2009년 대비 1.7% 감소) - 이 중, 연구자수는 14,931명(2009년 대비 2.6% 감소), 연구자 이외는 20,117명(1.1% 감소)으로, 연구자가 전체 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2.6%로 2009년보다 0.4포인트 감소 - 특히, 37세 이하의 신진 연구자는 4,283명으로 2009년 대비 15.8% 감소 ○ 성과 - 전체 법인의 특허 출원 건수는 국내 1,780건(2009년 대비 5.2% 감소), 외국 748건(1.6% 증가) - 또, 소유 특허 건수는 국내 14,461건(2009년 대비 8.2% 증가), 외국 4,640건(2009년 대비 3.2% 증가)이며, 이 중 실시 허락을 실시하고 있는 건수는 국내 1,557건(2009년 대비 5.3% 증가), 외국 491건(24.6% 증가) - 상기 결과로, 특허를 포함한 지식재산권에 의한 수입은 12.5억엔(2009년 대비 42.0% 증가). 한편, 지식재산의 관리 유지비용은 7.5억엔(2009년 데이터 없음) □ 자금 배분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독립행정법인 ○ 자금 배분 상황 - 배분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7개 독립행정법인에 의한 2010년의 총 배분액은 약 3,700억엔으로, 2009년보다 0.7% 감소 ○ 자금 배분의 선택과 집중 - 2010년의 배분액(일본학술진흥회를 제외한 6개 법인) 가운데,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중점 추진 4개 분야(생명과학, 정보통신, 나노테크놀로지·재료, 환경)·추진 4개 분야(에너지, 제조 기술, 사회 기반, 프런티어)로의 배분은 약 2,419억엔 - 상기 내역을 보면, 생명과학이 약 516억엔(약 21.3%), 정보통신이 약 285억엔(약 11.8%), 환경이 약 161억엔(약 6.6%), 나노테크놀로지·재료가 약 370억엔(약 15.3%), 에너지가 약 639억엔(약 26.4%), 제조 기술이 약 108억엔(약 4.5%), 사회 기반이 약 23억엔(약 1.0%), 프런티어가 약 46억엔(약 1.9%) □ 국립대학법인 등의 과학기술 관계 활동 ○ 재무 상황 - 2010년의 국립대학법인(88개 법인)의 경상 수익의 총액은 2조 6,554억엔(2009년 대비 약 0.8% 증가) - 상기 내역을 보면, 운영비 교부금 수익이 9,775억엔(36.8%, 2009년 대비 5.1% 감소), 부속 병원 수익이 8,493억엔(32.0%, 8.5% 증가), 학생 납부금 수익 3,431억엔(12.9%, 9.2% 증가), 수탁 연구 등의 수익이 1,782억엔(6.7%, 0.0%) 등 ○ 산학관 협력 추진 등 - 민간기업과의 공동 연구는 2008년까지는 수입액의 순조로운 성장을 볼 수 있었지만, 이후에 감소 - 수탁 연구는 정부로부터의 수탁 연구가 대부분이지만, 2008년 이후 지금까지 성장이 멈춘 상태 - 대학발 벤처의 설립수는 2004년을 피크로 이후에는 매년 감소하여, 2009년에는 피크시의 27.4%로까지 침체 - 발명 신고 건수는 2001년부터 2006년에 걸쳐 증가 경향에 있었지만, 이 후 서서히 감소. 특허권 실시료 수입은 2001년 이후 대체로 증가 경향을 보임 ○ 학술 논문의 생산 상황 - 과학기술정책연구소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일본 전체의 논문 생산은 2000년경을 기점으로 침체 경향이 되어, 이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요 국가와 비교해 현저하게 낮은 성장을 보임 - 그 결과, 세계에서의 일본의 논문수 쉐어는 1998년부터 2000년까지의 평균에서는 미국과 영국에 이어 세계 제3위(9.2%)였지만, 2008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에서는 중국과 독일에 뒤져 세계 제5위(6.6%) - 상기 요인으로는 일본의 학술 논문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국립대학이 논문 생산에서 침체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보임 [목차] 1. 독립행정법인의 과학기술 관계 활동 2. 국립대학법인 등의 과학기술 관계 활동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129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