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중국, 광저우 지식도시 구축을 위한 제언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10-22 00:00:00.000
내용 중국 광저우개발구와 싱가포르 싱브릿지社가 중국-싱가포르 광저우 지식도시 건설을 추진. 미국 랜드연구소는 lsquo;12년 9월 광저우 지식도시의 혁신 시스템 구축을 위해 세계 유수의 클러스터를 분석해 권고사항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표 *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는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 중 하나이며, 군사문제에 대한 연구로 세계적 권위를 보유 1. 광저우 지식도시의 개요 □ 중국 광저우개발구(Guangzhou Development District)와 싱가포르 싱브릿지(Singbridge)社는 중국-싱가포르 광저우 지식도시 건설을 추진 ○ 지식도시(Knowledge City, 知 #35782;城)는 혁신적 산업과 관련 지식 전문가들을 유치할 수 있는 환경 #65381;기술적 첨단 도시(클러스터) ※ (참고) 클러스터는 상호연결된 기업과 기관들이 인접해 모여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장점을 보유 - 기업에게는 공급자-고객의 지리적 인접성, 공통 인프라 사용, 전문적 인력풀 #65381;정보 형성, 평판(reputation), 마케팅 협력 등의 효과가 발생 - 클러스터가 형성된 지역에는 생산, 소득, 고용 기회, 세수입의 증대가 발생 - 광저우개발구는 저임금 제조업에서 고부가가치의 연구혁신 기반 지식산업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09년 지식도시 건설을 발표 #65381; 스마트 시티, 에코 시티, 러닝(Learning) 시티, 디자인 시티를 구현을 통해 생활과 업무 모두에 적합한 도시 구축이 목표 #65381; 6개 주축 산업 : 차세대 ICT 산업, 생명공학 및 제약산업, 청정기술산업, 차세대 재료산업, 문화 및 창작산업, 과학 및 교육지원사업 ※ (참고) 광저우 지식도시 건설 현황 ○ 광저우는 '84년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에 따라 개방된 14개 도시 중 하나로 중국 제조업의 중심지 역할 - 최근 경제구조의 불합리성, 주체적인 혁신 역량 부족, 에너지 자원 부족, 환경보호 압력 증대, 개발에 따른 물가 상승, 지역간 불균등한 발전 등의 문제에 봉착 - 광저우와 중국의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지식 기반 경제의 중심이 될 세계적인 혁신 클러스터에 대한 필요성 대두 ○ 중앙정부, 광동성 정부, 광저우 시정부, 광저우개발구 등이 지식도시 내 혁신 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개별적으로 시행하고 있어 경우에 따라 정책간 마찰이 발생 - 광저우 지식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 #65381;혁신 #65381;사업화 지원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상황 2. 광저우 지식도시에 적용가능한 혁신적 클러스터 사례 분석 □ (실리콘밸리) 캘리포니아 북부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 위치한 정보통신기술 중심의 하이테크 산업 집적지 ○ (특징) 실리콘밸리는 창조적 파괴*, 높은 분사(分社, spin-off) 비율, 특허취득 선두 지위를 누리는 세계 최고의 클러스터 중 하나 *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이란 새로운 아이디어와 새로운 기업이 계속 생겨나고 없어지는 과정에서 진보가 이루어진다는 개념 ○ (자금조달) 실리콘밸리 초기에는 개별 엔젤 투자자들의 투자나 정부의 공공주문을 통해 다수의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 - 현재 실리콘밸리는 미국 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벤처캐피탈이 유입되는 지역 #8231; '11년 3/4분기 실리콘밸리에는 소프트웨어, 정보기술서비스, 생명공학, 의료 기기 #65381;장비 등과 관련된 155개의 벤처캐피탈社가 소재 #8231; '11년 3/4분기 중 273건 29억불 규모의 투자가 성사되었으며, 평균 투자 규모는 980만불로 미국 전체 평균인 790만불을 상회 ○ (인적자본) 실리콘밸리가 소재한 산타바바라 카운티 주민의 교육 수준은 캘리포니아와 미국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준 - 산타바바라 카운티 주민 중 45%가 최소 학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 - 실리콘밸리 내 또는 인근에 소재한 스탠포드 대학교, UC 버클리 등이 기술 숙련 인재들을 공급 - 이민을 통한 인재 유입도 실리콘밸리의 중요한 인적자본 공급원 ○ (삶의 질) 실리콘밸리가 소재한 캘리포니아는 온난건조한 기후, 기존 산업 형성 정도, 인구 밀도, 해안 접근성 등의 요인이 장점으로 작용 - 캘리포니아의 높은 세금 #8231;생활비가 인력 유입을 저해한다는 측면에서 클러스터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다른 요소들이 가지는 장점이 더 크게 작용 * 삶의 질 및 생활편의시설의 가용성은 클러스터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잠재적 요소 ○ (기업 생태계) 실리콘밸리는 적절한 기업 생태계 구축, 창업기업 지원 제도의 지속적 개발, 소셜 네트워크 활용 등으로 창업 및 이후 사업 활동이 용이 ○ (정부 정책) '80년 특허상표개정법* 이후 대학의 특허출원이 활발해짐에 따라 인근 대학에서 분사가 증가하고 기업가정신이 고취되면서 실리콘밸리 발전 요인으로 작용 * 특허상표개정법(Patent and Trademark Amendments)은 미국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은 공공연구소, 대학, 비영리연구소 등의 연구결과에 대해 해당 기관이 특허 출원을 하고 기술사용료를 받을 수 있도록 허가. 이후 미국 대학의 특허출원이 매우 활발해졌고, 연구개발활동이 실용주의적 대상으로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해 경제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 발명으로부터 얻어진 수익을 대학과 발명자가 분배하도록 함으로써 기업가 정신을 장려 #8231; 스탠포드 대학교의 경우 기술사용료(cash royalties)의 15%(행정비용)와 특허출원비용을 제하고 나머지 기술사용료에 대해서는 발명자, 발명자가 속한 과(department) 및 단과대학(school)과 균등하게 배분 -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lsquo;경쟁금지조항* rsquo;을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기업간 인력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 * 경쟁금지조항(Noncompete Clause)은 직원이 경쟁업체로 이직하는 것을 제한하는 조항.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경쟁금지조항을 실시하지 않고 있으나 영업비밀보호법(trade secret law)은 실시 - 현재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 #65381;샌프란시스코 시가 다양한 투자 장려책을 운용하고 있으나, 실리콘밸리 형성 초기에는 이러한 정책들이 운영되지 않았고 연방정부의 기술구매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평가 □ (메릴랜드 생명과학 클러스터) 미국 워싱턴 D.C. 북쪽 메릴랜드 주에 위치한 생명공학, 제약, 의료기기 중심의 클러스터 ○ (특징) 국립보건원 #65381;국립표준기술원 #65381;FDA 등 60여개의 연방정부 산하 기관 및 연구소, 메릴랜드 칼리지 파크 대학교, 존스홉킨스 대학교 등이 인근에 위치 - 생명과학 클러스터의 중심부인 몽고메리 카운티에는 정보기술과 국방 관련 산업들도 특화 ○ (세제 혜택 및 보조금) 클러스터 내 기업들은 다양한 세액공제가 가능 - 특정 지역에서는 재산세(property tax)에 대해 세액공제를 적용하기도 하며, 메릴랜드 주는 초기 단계의 생명공학 기업이 투자한 액수에 대해 투자 세액공제를 실시 - 메릴랜드 주정부나 메릴랜드 대학교를 통해 대출, 보조금 프로그램 이용 가능 ○ (민간 자금조달) 지역 내 벤처캐피탈사가 상당수 존재 - 민간 자금조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연구 자금조달을 위해 주정부 산하 기관이나 메릴랜드 대학교를 통한 엔젤 투자 네트워크가 구축 #8231; 메릴랜드기술개발공사(TEDCO)는 엔젤 투자 네트워크를 구축해 1년에 2-3회씩 약 20개 기업을 초청해 아이디어를 소개하도록 하고 이 중 상위 10개사를 선정해 엔젤 투자자 그룹에 소개 - 주정부 산하 기관들도 벤처캐피탈 제공을 목적으로 일부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참여 ○ (인적자본) 생명과학 클러스터가 소재한 몽고메리 카운티 주민의 주민 중 60%가 최소 학사 학위를 소지 - 몽고메리 카운티는 국립보건원을 비롯한 다수의 연방정부 산하 연구소와 기관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관들에 근무하는 전문가들이 많이 거주 ○ (삶의 질) 몽고메리 카운티의 공립학교 수준이 높고 고등교육기관 역시 풍부한데다 편의시설도 상당히 잘 갖추어진 좋은 여건 ○ (정부 및 대학 정책) 주 #65381;지방 정부와 메릴랜드 대학교는 생명과학 클러스터를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시행 -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교직원이 창업시 교직원직을 유지하면서 창업기업에서 파트타임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허가,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및 워크샵 운영, 사업 계획 공모, 기술지원 프로그램 등 □ (이스라엘 ICT 클러스터)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하이파로 이어지는 지역은 ICT 기업들의 집적지로, 헤르츨리야, 라아나나, 하이파가 메인 클러스터 ○ (특징) 다국적 기업들이 이스라엘 ICT 클러스터 발전의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가운데 분사(spin-off)와 특허 활동도 활발 ○ (자금조달) 이스라엘 ICT 클러스터에서는 R D 및 상용화 전단계의 (precommercialization) 자금조달과 벤처캐피탈이 중요 - 이스라엘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GDP 대비 국내 R D 총지출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로 이중 80%를 민간 기업이 지출하며 정부 지출은 5% 미만 - 상용화 전단계 지원과 관련해 수석과학관실은 '93년부터 경쟁전단계(generic, precompetitive technology)의 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인 마그넷 프로그램(Magnet Programme)을 운영 - '85년 이스라엘 최초로 벤처 캐피탈 펀드가 설립되었으며, '93년 정부가 lsquo;요즈마* rsquo;라는 자체 벤처 프로그램을 시행 * 요즈마(Yozma) : 정부와 기업이 함께 자금을 투입해 만든 매칭(matching) 방식의 벤처 캐피탈 ○ (인적자본) 이스라엘 방위군(IDF)과 다국적 기업들이 전문 인력 공급에서 중요한 역할 - 이스라엘 방위군은 다수의 기술 관련 부대와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어 이스라엘의 기술 인재를 훈련시키는 가장 중요한 장으로 역할 - 다국적 기업은 이스라엘 ICT 클러스터에 인력을 공급하는 이외에도 인력을 훈련시키는 사실상의 교육기관으로 역할 ○ (삶의 질 및 네트워크) ICT 주요 클러스터가 소재한 지역은 이스라엘에서 생활 여건이 가장 좋은 지역 - '90년대 하이테크 호황 기간 동안 특수한 공급자 네트워크나 지원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가 형성 - 일부는 미국과 같은 대규모 시장과 이스라엘을 연결하고 있으며, 클러스터 내 소셜 네트워크 역시 하이테크 클러스터 발전에 기여 ○ (정부 정책) 세금 감면, 투자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의 조치를 통해 클러스터 형성과 성장을 지원 - 산업 부문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법인세와 배당세를 감면 ※ (참고) 다국적 기업들이 이스라엘로 진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세금 감면보다 이스라엘이 보유하고 있는 숙련 인력에 있는 것으로 분석 - 투자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 인큐베이터 프로그램, 국제협력 추진 등도 ICT 클러스터 발전에 기여 3. 광저우 지식도시에 대한 권고사항 □ (세제 및 비세제 조치) 광저우 지식도시가 클러스터로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세금 감면 등의 세제 조치보다는 자금조달과 같은 비세제 조치가 더욱 중요 ○ 광저우 지식도시에서는 기업이 성장 초기 단계에서의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엔젤 투자자 네트워크 조성 등이 필요 - 대부분의 하이테크 기업들은 은행 대출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으며 엔젤 투자자의 자금을 지원받는 경우는 극소수 ○ 숙련 인력 가용 및 지식재산권 보호도 중요 - 중국 내 거주하는 인재 이외에 최상위 연구자가 부족한 광저우 지식도시는 해외에 거주하는 중국인이나 외국인 인재를 유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편의시설과 교육 기회를 제공할 필요 - 지식재산권 보호는 고부가가치 생산 기업의 유치와 관련 투자, 국제 협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8231; 대학의 특허 활동과 관련해 대학과 발명자가 기술사용료 등 발명으로부터 얻어지는 수익을 분배하게 되면 대학에서의 실용적 기술 개발 촉진이 가능 □ (인프라 및 사업 환경) 인프라와 사업 환경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해고나 폐업이 쉽지 않다는 점이 지적 ○ 광저우는 역사적으로 중국 대외 무역 중심지로 새로운 사고나 외국인 투자에 대해 개방적 성향, 교통인프라 완비, 높은 대내외 시장 접근성, 지방정부의 對기업 태도에 열의가 있고 유연한 장점을 보유 ○ 중국에서는 해고나 폐업 규제가 국가 차원에서 시행되어 광저우 지식도시가 이를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다운사이징(downsizing)이나 폐업 프로세스를 밟을 수 있도록 지원 ○ 정부가 기업 육성을 위해 공급 측면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종종있으나, 이보다는 혁신적 기업에 의해 만들어진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기업 성공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 - 광저우 지식도시 지역에 혁신적 제품에 대한 수요가 부족하다면, 홍콩, 대만, 한국, 일본 등을 대상으로 사무소 설치, 무역박람회 참가, 특별 행사 후원 등을 통해 시장을 개척 □ (네트워크) 엔젤 투자자 네트워크와 같이 자발적으로 구축되기 어려운 네트워크 구축에 중점 ○ 클러스터의 주요 구성요소로써의 네트워크는 클러스터가 발전하면 개인들간의 소셜 네트워킹이나 비즈니스 네트워킹 형태의 자발적 네트워킹 형태로 구축 - 이스라엘의 경우와 같이 클러스터 내에서 일반 군사훈련에 참여했던 개인들간의 네트워크 형성도 가능 □ (지식도시 마케팅) 지식도시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기관을 유치하는 것이 성공의 관건 ○ 메이저 기업 #8231;기관을 유치하게 되면 해당 기업 #65381;기관의 평판이나 협력 필요 때문에 공급자, 구매자의 지식도시 유입이 가능 ○ 메이저 기업 #8231;기관은 지식도시 내에서 인재 공급의 원천, 상용 제품 또는 분사에 필요한 기술의 원천으로 역할 출처 : RAND Corporation(2012)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120003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