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유럽, 북미,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IEA 풍력 회원국은 전세계 풍력 발전 용량의 75%를 제공한다. 2008년 17,000 MW 이상을 추가하여 전체 풍력 발전 용량은 92,000 MW에 육박한다. 회원국 절반 이상이 각각 최소 200 MW의 신규 용량 추가하였고 미국(8,558 MW), 독일(1,665 MW), 스페인(1,609 MW), 이탈리아(1,010 MW) 4개국이 1,000 MW 이상을 추가하였다. IEA 풍력 회원국의 풍력 발전 생산은 전체 전력 요구의 2.5%를 충족시켰다. 이러한 IEA 풍력 회원국의 풍력 발전 용량은 호주와 같은 한 국가의 전체 전력 소비를 충당하기에 충분하다. 대부분의 국가가 2009년 및 향후 더 많은 용량 증대에 대한 계획을 보고했다. R D 활동 우선 사항 결정 2008년 IEA 풍력실행합의서 (IEA Wind Implementing Agreement)는 2008년에서 2013년까지 5년 동안 실행합의서를 인도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 계획을 개발했다. 주요 R DD 분야 1. 경쟁력 있는 비용에서 성능과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한 풍력 기술 연구 2. 통제 가능하고, 그리드 친화적인 풍력 발전소 개발을 포함한 대량 풍력발전의 발전 시스템 운영 및 그리드 통합 3. 대규모 풍력 통합을 위한 계호기 및 성능 평가 방법 4. 얕은 수심과 깊은 수심의 해상 풍력 5. 사회, 교육 및 환경 이슈 EU -2006 이후 운영되고 있는 유럽 풍력에너지 플랫폼(TP Wind)은 혁신 증대, 신규 및 기존의연구, 개발 과제를 위한 영역을 확인하고 우선 사항을 결정하는 산업 주도 이니셔티브이다. 2008년 6월, TP Wind는 전략적 연구 아젠다 및 시장 배치 전략(Strategic Agenda Market Development Strategy) 보고서를 발행했다. 2009년에 유럽 풍력 에너지 부문의 전략적 연구 아젠다의 실행 계획을 구성하는 프로젝트 목록을 발행할 예정이다. 캐나다- 풍력 에너지 기술 로드맵이 개발 중에 있다. 전체적인 비용 절감 달성, 캐나다 산업적 및 경제적 이익 제고에 요구되는 R D의 투자 분야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일 -풍력 발전의 목적과 우선 사항은 정기적인 전문가 전략 회의에서 결정된다. 최근 전략 회의를 통해 비용 절감, 생산력 증대, 풍력 발전기의 이용성 개선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정부의 신규 재정 기금이 발표되었다. 스페인 - 2008년, 2008년에서 2011년까지 포함하는 정부의 신규 R D 계획이 개발되었다. 기존의 제안의 주제별 분야 대신에 국각의 과학 및 기술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 영국 -육상 및 해상 풍력 발전이 핵심 성장 분야가 될 것이다. 한 시나리오를 보면, 현재의1GW 이하인 것에 비해, 2020년까지 해상 풍력 발전 용량이 24GW로 증가할 것이다. 이를 위해 3,000개의 해상 풍력 발전기 추가 설비가 요구된다. 육상 풍력 발전 용량은 현재 2.7GW인 것에 비해 2020년까지 13GW를 이상이 될 것이다. 한국 - 2008년 3차 신재생에너지 R DD 국가 기본 계획를 수립했고, 이는 2003년에 발표한 2차 신재생에너지 국가 기본 계획을 수정한 것이다. 2030년 풍력 터빈 총 설비 용량은 7GW 이상이 될 것이다. 향후 몇년 동안 한국 정부는 시범 프로젝트로서 국산 풍력 발전기 설비를 지원할 것이다. 정부의 R DD 지원은 변환기, 베어링 등 터빈 구성요소의 국산 제조의 가속화에 중점을 둘 것이다. 연구 재정 EU- 20개 이상의 R D 프로젝트가 6차, 7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Framework Programme)의 지원으로 진행되었다. 덴마크 - 2008년 풍력 에너지 R D 재정은 약 1백3십만 유로가 증가되었다. 독일 - 환경부의 R D 지원은 2007년 3천5백만 유로에서 2008년 4천1십만 유로로 증가되었다. 1천4백6십만 유로에 해당하는 풍력 에너지와 관련된 그리드 통합기술에 대한 연구가 2008년에 추가로 마련되었다. 미국 - 2008년 연방 풍력 프로그램 예산은 약 5천만 달러에 달한다. 2009년 승인 예산은 5천5백만 달러이고, 2010년 예산은 7천5백만 달러가 될 것이다. 한국 - 풍력 발전 지원은 한국 정부가 비용 효율적으로 신재생 에너지원의 R DD 투자에 집중할 수 있는 한 방법이다. 2008년 풍력 R DD 연간 예산 5백6십8억원은 MW 규모 풍력 터빈 시스템 및 구성 요소 국산화를 목적으로 책정되었다. 대규모 풍력 터빈 개발 한국 - 전년도 정부의 진원 결과로 750-kW, 1.5-MW 풍력 터빈 실험이 성공하였고, GL DEWI 해상 풍력 및 인증센터에서 각기 인증을 받았다. 2008년 다른 제조사에서 두개의 2-MW 풍력 터빈이 설치되었고 2009년 현장 실험 중이다. 미국 -미국 풍력 프로그램은 디자인 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풍력 턴빈 변속기 신뢰도 협력(Gearbox Reliability Collaborative)를 마련하였다. 소규모 풍력 터빈 스페인 ndash; 홍보와 정보 수집을 통하여 소규모 풍력터빈 부문 지원작업이 진행 중이다. 신규IEA 풍력 과제 27 소규모 풍력터빈의 소비자 라벨링을 위한 CIEMAT는 운영기관의 역할을 할 것이다. 포르투칼 - 2.5-kW의 소규모 풍력 터빈, T-UR Ban 프로젝트가 실험 단계에 있다. 아일랜드 - 2009년 주요 풍력 R DD 활동으로 소규모 풍력 터빈의 초기 및 단기 유지 비용의 40%를 지원할 것이다. 연구 전체 예산은 2백만 유로이다. 2008년 한국 풍력 발전 현황 총 설비 풍력발전 236 MW 신규 설비 풍력발전 43 MW 총 풍력 전력 발전 421 TWh 국가 전력 수요에 대한 풍력 발전% 0.1% 목표 7,301 MW(2030년까지) [목차] 섹션1. 실행합의서 및 적극적인 과제 1장. 실행합의서 2장. 2장 기본 기술 정보 교환 ndash; 과제 11 3장. 한대기후의 풍력 에너지 ndash; 과제 19 4장. 해상 풍력 에너지 기술 배치 ndash; 과제 23 5장. 풍력 및 수력 발전 시스템의 통합 ndash; 과제 24 6장. 대량 풍력 발전에 관한 발전 시스템 ndash; 과제 25 7장. 풍력 에너지 비용 ndash; 과제 26 8장. 소규모 풍력 발전기의 소비자 라벨링 ndash; 과제 27 9장.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의 사회적 수용 ndash; 과제 28 10장. MexNex(T): 풍력 터널 측정의 분석 및 공기역학 모델의 개선 섹션2. 회원국 활동 사항 11장. 호주 12장. 오스트리아 13장. 캐나다 14장. 덴마크 15장. EC 16장. 핀란드 17장. 독일 18장. 그리스 19장. 아일랜드 20장. 이탈리아 21장. 일본 22장. 한국 23장. 멕시코 24장. 네덜란드 25장. 노르웨이 26장. 포르투갈 27장. 스페인 28장. 스웨덴 29장. 스위스 30장. 영국 31장.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