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각 성의 국제적 대처 * 총무성 -ICT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처 - 차세대 IP 네트워크 국제경쟁력 강화 - 베트남 정보통신성과 의견교환 ( 차세대 IP 네트워크 분야 ) - 신세대 네트워크에 관한 국제연대 ∙표준화 추진 - 와이어레스 분야에 일본 ∙중국간의 협력강화 , 베트남 -Beyond 3G 에 관한 국제회의 실시 - 일본 ∙미국 ∙유럽의 기술협력에 의한 지구환경 관측 프로젝트 * 문부과학성 - 첨단적 과학기술을 활용한 과학기술 협력 강화 ∙ - 개발도상국과의 과학기술 협력 강화 - 국제적인 인재유동 추진 , 국제연구 네트워크 강화 ( 장래의 방향성 ) - 분야나 상대국에 대한 다양한 과학기술 협력의 강력한 추진 - 세계적인 두뇌 순환으로 연구 ∙인재 네트워크의 확고한 일원이 되기 위한 대처 강화 - 과학기술의 글로벌화에 따른 일본의 과학기술 국제활동의 기반 강화 * 후생노동성 건강 ∙안심 추진 , 첨단의료 실현 , 건강안전 확보로 안전 ∙안심의 질 높은 건강생활을 실현한다 . ( 지구규모의 보건과제 추진연구 사업 (2009 년도 ~)) - 기술이전에 관한 연구 - 기후변동에 따른 건강영향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장관의 성명에 따른 의약품의 민족간의 차이에 관한 국제공동 임상 연구 - 젊은 연구원 육성형 연구 - 지구규모 보건 과제 대응력 양성연구 * 농림수산성 - 농림수산성과 여러 국가의 농업성 , 연구담당국 , 연구기관 등과의 교류 - 일본의 연구기관과 해외 연구기관과의 국제공동연구 , 연구교류 등 - 일본의 젊은 연구원의 선진국 연구기관 ∙국제농업연구 기관 파견 - 젊은 아프리카 연구원을 해외에서 활약하는 일본인 연구원과 연수 참여 * 경제산업성 ( 경제산업성의 정책에서 과학기술의 위치 ) -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는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추진 - 혁신적 기술 등의 사회의 실증 ∙도입에 의한 신수요 창출 - 과제 해결형 이노베이션 시스템을 위한 환경정비 ( 과학기술의 국제협력 위치 대처 ) - 국제적 과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촉진 - 최첨단 분야의 과학기술력 향상 - 개발도상국의 기술 이전 ∙보급 - 자원보유국과의 협력 관계 구축 ( 미래의 방향성 ) 1. 국내연구개발 활동의 국제적 전개 - 해외의 지식을 국내의 연구개발에 흡수하기 위한 환경정비 - 국가에 의한 연구개발 지원의 국제화 - 일본의 이점을 고려한 관계 구축 2. 연구개발 성과의 국제전개 지원 - 국제표준화 등 일본 산업의 국제전개에 대한 지원 충실 - 혁신적인 저가격화 기술개발에 의한 일본 산업의 국제적 확대의 전개 강화 - 해외의 지적재산권의 보호 관점에서 모방품 ∙해적판 대책 강화 - 기술을 둘러싼 국제적인 규칙 등 환경 정비 * 국토교통성 - 기술연구 개발 성과의 사회적 환원 - 이노베이션 추진을 위한 공통기반 구축 - 환경 ∙에너지 기술에 의한 국제공헌 추진 ( 미래의 방향성 ) - 국제표준화 활동추진을 위한 체제 구축 - 연구활동과 국제표준화 활동의 일체적 추진 - 국제표준화 추진을 위한 인재육성 - 아시아 등 국가와의 연대 강화 - 기술개발 성과의 해외 보급과 국제시장 전개 - 사회자본 정비의 일본 보유기술에 의한 국제공헌 * 환경성 - 지속가능한 사회 구축을 위한 국제적 구축을 위해 국제기관 등과 연대한 연구 ,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사회 구축에 이바지하는 사회 시스템 연구 추진 - 일본이 국제적인 리더쉽을 발휘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연구를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