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본 전략의 진행 방책 「 2050 년까지 현상의 60 sim; 80% 의 삭감」이라는 저탄소 사회의 실현을 목표하기 위해서는 단독기술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삭감으로는 불가능하며 복수의 혁신적인 기술을 조합하는 동시에 저탄소 사회에 적응한 생활양식이나 산업구조의 전환에 의하여 비로소 실현 가능하게 된다 . 이를 위한 저탄소 사회 만들기의 연구개발을 실시하기 앞서 환경과 에너지 자원의 제약 하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사회 ∙ 산업구조개혁이나 기술혁신 등을 종합한 전략적인 사회 시나리오 연구를 실시하는 동시에 이 환경대책기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사회 시스템 안에서 검증 하면서 ①정밀한 환경변화를 파악하는 지구관측 ②관측 데이터를 활용한 예측된 환경변화에 대응한 적응책의 연구개발 ③ 온실가스 즉 이산화탄소 배출량 삭감에 이바지 하는 완화책의 연구개발 ④환경과학기술의 활용에 의한 과학기술외교 의 4 개의 상호에 관련한 섹터를 동시 진행시키는 연구활동을 전개한다 . 또한 이 연구개발활동의 기반이 되는 기초적 연구의 충실 및 연구기반의 정비가 중요하다 . 이 종합된 연구활동에서는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인문과학 ∙ 사회과학에 관한 연구가 불가결하므로 문부과학성이 가진 연구자원을 결집하여 종합적이며 체계적으로 진행해 나가야 한다 . 각 연구개발 전략 [ 전략 1] 전략적 사회 시나리오 연구의 실시 온난화의 완화기술과 적응기술에 관한 최신의 연구개발동향이나 사회정세를 감안하여 과학기술에 입각한 사회 전체의 시스템 개혁의 방향성 , 그 실현을 목표한 각종 기술의 사회로의 도입 ∙ 보급의 프로세스 , 중점적으로 연구개발해야 할 기술과제 등을 제시한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 시나리오 연구」에 대처한다 . 본 연구의 실시에 앞서 전략 2 sim; 8 에서 대처와 상호 성과 ∙ 정세 등의 피드백을 실시하고 본 연구가 본 전략 전체의 싱크탱크로의 기능하는 것으로 문부과학성 저탄소 사회 만들기 연구개발전략본부에서 시나리오와 연구개발을 연대시킨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 [ 전략 2] 사회 시스템에서 기술적 검증 문부과학성에서는 관계 성청 , 도시 ∙ 지역에서의 중핵기술의 실증화 연구와 시스템의 개혁을 포괄적으로 실시하여 기후변동 적응 ∙ 완화를 위한 중핵요소기술의 완성 , 그 쇼케이스가 되는 도시 ∙ 지역의 형성 , 시스템 개혁 시책의 전국 전개의 기반 만들기를 도모하는 것으로 완화책과 일체가 되는 기후변동 적응책을 추진하기 위한 시스템 개혁을 실시해 나간다 . [ 전략 3] 선진적 저탄소화 기술개발 ( 완화책 ) 의 추진 CO2 배출량의 대폭적 삭감에 기여하기 위한 효율성이나 경제성이 비약적으로 높은 기술이나 현재 기초적 단계에 있는 기술의 실용화를 목표한 선진적인 기술개발을 실시한다 . [ 전략 4] 장래적 에너지 기술개발의 추진 장기 목표달성을 위한 장래적인 에너지 기술로 기대되는 고속증식로 사이클 기술 , 핵융합기술 , 우주 태양광 등 에너지 기술의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 ◆ 고속 증식로 사이클 기술 ◆ 핵융합 ◆ 혁신적 수소제조기술 ◆ 우주 태양광 [ 전략 5] 환경변화에 대한 실효성이 있는 적응책의 검토 환경의 변화 , 특히 기후변동의 영향의 리스크를 저감하여 안심 ∙ 안전하며 활력 있는 사회 만들기를 위한 적응책에 대처한다 . ◆ 기후변동 적응 전략 이니셔티브 ◆ 21 세기 기후변동예측 혁신 프로그램 [ 전략 6] 지구환경을 계속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체계적 관측의 추진 ◆ 해양 관측 ◆ 극역 관측 ◆ 위성에 의한 관측 [ 전략 7] 연구자의 자유로운 발상에 기초한 독창적인 어프로치의 탐색이나 새로운 발상에 의한 난관돌파 (breakthrough) 를 할 수 있는 기술 시즈의 창출 경쟁적 자금제도 등에 의한 기초연구를 추진하여 2050 년을 목표한 온실가스 즉 CO2 배출량의 대폭적 삭감에 기여할 수 있는 선진적 기술개발이나 기후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혁신적인 대책 연구와 하나가 되는 획기적인 기술 시즈의 창출을 목표한다 . [ 전략 8] 일본의 우수한 환경과학기술에 의한 국제협력 ∙ 과학기술외교의 전개 일본의 우수한 환경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세계의 각 국가 ∙ 지역이나 IPCC, 지구관측에 관한 정부간 회합 (GEO) 등의 각 국제적 틀 구조와의 과학기술협력을 실시 , 아시아 ∙ 아프리카의 주요 국가 등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일본의 과학기술의 성과의 제공 , 인재육성과 그 과제대응 능력의 향상으로의 지원 등을 통하여 세계에서 환경문제의 해결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한다 . 그 구체책으로 이하의 시책 등을 추진한다 . ◆ 지구규모과제 대응 국제과학기술협력 사업 ◆ 전략적 국제과학기술협력 추진사업 ◆ 전략적 환경 리더 육성거점형성 사업 ※ 이 저탄소 사회 만들기 연구개발전략은 문부과학성 연구개발국 해양지구과 지구 ∙ 환경과학기술 추진실에서 정리한 내용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