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농촌지역사회의 정보접근 확대 및 민주화 : 미니 도서관 프로젝트에서 사서의 역할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5-07-14 00:00:00.000
내용 2015년 8월 개최될 제81회 세계도서관정보대회(WLIC) 및 국제도서관연맹(IFLA)총회에 발표 내용 중 Fabio Lima Cordeiro외 1인의 “농촌지역사회의 정보접근 확대 및 민주화 : 미니 도서관 프로젝트에서의 사서 역할(Dissemination and democratization of information access in rural communities: the role of librarians in the Mini Libraries project)”이라는 발표가 있다. 해당 발표는 브라질의 식량 생산량 증가를 위해 열대 농업 및 축산 모델을 개발하는 농업연구청(Embrapa)의 'Mini Libraries` 프로젝트를 다루고 있다. 'Mini Libraries`프로젝트는 농업관련 정보에 대한 액세스 향상을 위해 농업연구청이 2003년부터 시작하였다. 농업연구청은 지역 농업과 축산발전에 유용한 서적, 소책자, 비디오 및 오디오 등의 정보를 정리한 키트를 배포하고 있다. 키트는 각 인쇄 출판물 사본 2부와 비디오류 1점과 'Rural Prose' 컬렉션(Embrapa의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키트가 지역 수신처로 배포할 때는 120여권의 출판물, TV쇼 `Farm Day`의 80편을 수록한 DVD 8개, 160개의 Rural Prose 프로그램를 수록한 8개의 CD가 한번에 전달된다. Mini Libraries 프로젝트는 가뭄기간동안 소떼들을 위한 대체 수유, 양봉, 가금류의 개방사육, 젖소, 염소 및 양, 물 확보, 저장 및 경제적 이용, 식용작물, 산업적 추출, 지역 및 통합적 지속가능한 개발, 토속 과일, 키친가든(정원이 있는 가정); 농업인들을 위한 전문 사회 기관, 내수면 양어법, 나무 및 에너지식물, 부대 및 지역단체 생산품 처리절차, 유기능 식품 생산 등의 주제를 아우르고 있다. 초기에 브라질 내 8개 주에서 초-중학교 205곳을 대상으로 배부된 후 현재는 브라질 전 지역으로 확대되어 1,248개 지방자치단체에서 2,50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시행되고 있다. 학생들 뿐만 아니라 농업 기업체나 개인 농업주 및 어부, 심지어 킬롬보(quilombo, 흑인 도망노예 사회) 등에도 퍼져있고, 아프리카 모잠비크로도 확산되고 있다. 컬렉션의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요구가 있으며 이용법을 잘 모르는 교사들도 이를 활용하고 있다. 이에 사서들은 이들의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여느 도서관과 유사한 방법으로 본 컬렉션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안내서를 제공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의 향후 과제는 관계자 들간의 의사 소통이 가능한 포털 사이트 구축 및 키트 자료의 대출이나 관리의 틀을 만드는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5070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미니도서관 프로젝트; 브라질; 농업도서관; 농업연구청 2. Mini Libraries project; information access; agricultural library; rural development; Embra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