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영국 , 합성생물학에 대한 대중의 견해 합성생물학 (synthetic biology) 은 유망한 과학기술 분야로 , 공학과 생명과학의 발전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물학적 부품을 생성하고 기존의 생물학적 시스템을 재설계한다 . 합성생물학은 유전자 코드의 분석을 넘어서 실제로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든다 . 합성생물학은 최근 몇 년 동안 중대한 발전을 했다 . DNA 염기서열 결정 및 DNA 합성의 발전에 기초하여 , 연구원들은 게놈 (genome) 을 연구 , 설계 , 조립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를 가지고 있다 . 합성생물학은 새로운 생물학적 경로 , 부품 , 장치의 설계와 함께 합성생물학 시스템의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 구체적으로 , 합성생물학은 수많은 목적으로 새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ndash; 식품 , 바이오연료 , 의약품 , 진단법 , 생물정화 (bioremediation), 바이오센서 . 그 결과 , 합성생물학의 광범위한 잠재력은 바이오안보 , 사회적 정의 , 윤리적 문제와 같은 여러 가지 관심사를 유발한다 . 과학의 유망한 분야인 합성생물학의 효과적인 거버넌스는 유전공학에 대해 확산된 영국 대중의 관심사를 고려할 때 특히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이다 . 영국의 생명공학기술 및 생물학 연구위원회 (BBSRC) 는 공학 및 물리학 연구위원회 (EPSRC) 와 공동으로 합성생물학에 대한 관심사 및 기대와 관련하여 대중과의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 이 두 연구위원회는 공학 , 물리학 , 생명과학에 연간 10 억 파운드 이상의 공적자금을 투자하며 , 삶의 질 향상에 전략적인 초점을 맞춘다 . 이 두 연구위원회는 연구원들이 합성생물학 분야의 연구를 추진하고 윤리적 및 사회적 문제를 고려하도록 연구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네트워킹을 지원하기 위해 , 영국 전체에 7 개의 합성생물학 네트워크와 , 런던 임페리얼 컬리지에 합성생물학 및 혁신 센터를 설립했다 . 또한 , 이 두 연구위원회는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 영향을 미치는 lsquo; 사회적 문제 rsquo; 패널을 각각 두고 있다 . 이 보고서의 전반적인 목적은 합성생물학의 공공 가치 , 윤리 , 잠재적 응용에 대한 정보기반의 토론을 통해 영국 대중의 다양한 견해를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 향후 정책에 보다 잘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다 . 대중과의 대화에 의한 결과에 따르면 , 합성생물학에 대한 대중의 지원은 조건적인 반면 , 이 과학 분야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엄청난 기대를 걸고 있다 . 또한 , 이 분야의 규제 , 이익 대상 , 건강 또는 환경적 영향 , 오용 , 거버넌스 등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 목차 1. 서론 2. 목적 3. 표본 및 방법 4. 대중의 견해 5. 이해관계자 견해 6.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