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iPS 세포 및 인간 ES 세포 관련기술의 특허출원 및 논문발표 현황 1. iPS 세포 (inducecd Pluripotent Stem Cell) 관련기술 및 인간 ES 세포 (Embryonic Stem Cells) 관련기술의 특허출원 ( 공개 ) 현황 ○ iPS 세포 관련기술의 특허출원 ( 공개 ) 현황 - iPS 세포 관련기술 중 “ 신규 간세포 ” 에 관한 PCT(Patent Cooperation Treaty) 출원이 7 건 국제 공개되어 있다 ( 2009 년 2 월 13 일 시점 ). ○ 인간 ES 세포 관련기술의 특허출원 ( 공개 ) 현황 - 인간 ES 세포 관련기술의 출원은 181 건이 공개되었다 (2007 년 7 월 공개 이후 : 2009 년 2 월 13 일 시점 ). 기술 구분별로는 “ 요소기술 ” 이 169 건 , “ 응용기술 ” 이 12 건으로 연구개발 중심은 “ 요소기술 ” 로 , 아직 기술이 확립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 그 중에서도 “ 분화제어 ” 에 관한 출원이 “ 요소기술 ” 의 약 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 출원인의 국적으로서는 미국적 출원인이 92 건으로 가장 많고 , 다음으로 유럽국적 출원인이 22 건이다 . [ 표 1] 인간 ES 세포 관련 기술의 기술 항목별 출원인 국적별 출원건수 (2007.07 공개 ~) 분류 내용 일본 미국 유럽 중국 한국 기타 합계 C. 요소 기술 C1. 신규 간세포 1 14 3 0 1 7 26 C2. 분리 , 정제 , 증식 , 보존 2 20 11 3 5 12 53 C3. 분화제어 4 49 6 2 6 18 85 C4. 세포해석 0 0 0 0 0 1 1 C5. 세포개변 0 2 0 0 0 1 3 C6. 기타 요소기술 0 0 0 0 1 0 1 D. 응용 기술 D1. 재생의료 , 세포치료 1 1 0 0 0 0 2 D2. 제약 , 진단 0 5 2 0 0 2 9 D3. 기타 응용기술 0 1 0 0 0 0 1 소 계 8 92 22 5 13 41 181 2. iPS 세포 및 인간 ES 세포 관련기술의 논문발표 현황 ○ iPS 세포 관련기술의 논문발표 현황 - iPS 세포의 제작에 관한 논문 , 그 외의 세포로의 분화유도에 관한 논문 , iPS 세포의 제작 효율향상 등에 관한 논문 , 재생의료 등으로의 응용에 관한 논문 , 그 외의 iPS 세포 제작 과정에서 어떠한 유전자발현의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해석한 논문 등 , iPS 세포에 관한 논문에 대하여 그 발표상황을 조사하였다 . - 조사결과 , iPS 세포 관련기술의 논문은 67 건이 발표되었다 ( 2009 년 2 월 13 일 시점 ). 2006 년 교토대학 ( 京都大學 ) 야마나카 신야 ( 山中伸 #24357; ) 에 의한 제 1 보 발표이래 2007 년에는 12 건 , 2008 년은 45 건으로 논문 발표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 또한 2009 년은 2 월 13 일 시점에서 9 건이 발표되었으며 , 2008 년을 상회하는 기세로 논문발표가 이루어지고 있다 . - 미국은 MIT 또는 하버드대학 (Harvard Univ.) 와 그 연계 연구기관의 연구자에 의한 논문발표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 동부 보스톤지구가 iPS 세포 연구의 견인역할을 하고 있다 . - 논문의 책임저자 (corresponding author) 별로 논문 발표건수를 비교한 결과 R.Jaenisch(Whitehead Inst. Biomed. Res. , USA ) 가 12 건 , K.Hochedlinger( Mass. Gen. Hosp. , USA ) 가 7 건 , 이어서 야마나카 신야 ( 山中伸 #24357; , 교토대학 ) 가 6 건이었다 . ○ 인간 ES 세포 관련기술의 논문발표 현황 - 인간 ES 세포 관련기술의 논문은 317 건이 발표되었다 ( 발행년 2008 년 이후 : 2009 년 2 월 13 일 시점). 인간 ES 세포에 관한 논문은 “ 분화제어 ” 에 관한 논문이 153 건으로 약 반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 이어서 “ 세포해석 ” 논문이 64 건이었다 . “ 응용산업 ” 에 관한 논문은 32 건으로 아직 “ 요소기술 ” 에 관한 연구개발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 연구자 소속기관 국적별로는 미국이 131 건으로 영국을 비롯한 국가와 비교해서 압도적으로 많다 . [ 표 2] 인간 ES 세포 관련 기술이 기술 구분별 - 연구기관 국적별 논문발표 건수 ( 상위의 경우 , 발행년 , 2008 년 ~) 국적 국가 지역 요소기술 응용산업 합계 신규 간세포 분리 정제 증식 보존 분화 제어 세포 해석 세포 개변 기타 요소 기술 재생 의료 세포 치료 제약 진단 기타 응용 산업 미국 미국 14 8 68 31 1 0 4 5 0 131 영국 유럽 1 2 17 5 2 0 0 0 0 27 일본 일본 0 4 10 0 0 0 2 0 0 16 캐나다 기타 0 3 8 4 0 0 1 0 0 16 이스 라엘 기타 1 1 6 1 0 0 2 2 1 14 중국 중국 2 4 4 1 1 0 1 0 0 13 스웨덴 유럽 0 1 6 2 0 0 1 2 0 12 한국 한국 0 1 9 2 0 0 0 0 0 12 싱가 포르 기타 0 7 7 0 1 0 0 1 0 11 프랑스 유럽 0 2 2 3 0 0 2 0 0 9 합계 21 39 153 64 7 1 16 15 1 317 * 수록범위 : CAPLUS 는 2009 년 2 월 13 일 , MEDLINE 는 2009 년 2 월 9 일 , BIOSIS 는 2009 년 2 월 11 일 , EMBASE 는 2009 년 2 월 12 일 갱신 , 그 이외의 출처는 2009 년 2 월 13 일 까지의 자료를 수록함 . - 2007 년도 특허출원동향조사 “ 간세포관련기술 ” 에서는 1980 년 ~2006 년 ( 발행년 ) 의 인간 ES 세포에 관한 논문은 347 건이며 , 일본은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 , 싱가포르 , 호주 , 중국의 아시아 오세아니아 국가에 뒤져 있는 상황으로 보고되고 있다 . [ 표 3] 연구자 소속기관 국적별 인간 ES 세포 논문 발표 건수 순위 ( 발행년 : 1980~2006 년 ) 순위 연구자 소속기관 국적 국가 , 지역 발표건수 1 미국 미국 154 2 영국 유럽 35 3 이스라엘 기타 33 4 한국 한국 29 5 싱가포르 기타 19 6 스웨덴 유럽 16 7 호주 기타 12 8 중국 중국 11 9 일본 일본 7 9 독일 유럽 7 9 캐나다 기타 7 12 이란 기타 4 12 네덜란드 유럽 4 14 벨기에 유럽 2 14 핀란드 유럽 2 16 체코 유럽 1 16 스페인 유럽 1 16 인도 기타 1 16 러시아 기타 1 16 대만 기타 1 합 계 347 * 출처 : 2007 년도 특허출원기술동향 조사보고서 “ 간세포관련기술 ” ( 특허청 ): 제 2-1-32 표 (p. 314) - 이번 조사로 추출된 317 건은 발행년이 2008 년 이후이며 , 거의 1 년에 1980~2006 년 합계 (347 건 ) 에 필적하는 논문발표가 이루어졌으며 , 인간 ES 세포를 이용한 연구가 대단히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