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대사체 분석시스템을 활용하여 희귀성 자가면역질환 환자 및 질환 동물조직을 분석함으로써 대사체 data bank를 구축하고 신규치료표적인자를 발굴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 선도화합물을 도출하고자 함. 궁극적으로 희귀성 자가면역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조기진단기술을 개발하고 환자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원천적인 기반기술을 구축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 제 1단계 (2014. 12 ~ 2017. 11) • 6종 희귀성 자가면역질환 동물모델 및 환자 (갑상선안구병증, 자가면역 내분비선염, 베체트병, 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길랭-바레 증후군)로부터 유래된 검체를 이용하여 질환위험인자 발굴 및 질환예측 platform개발 및 대사체 분석 • 대사체 프로파일 및 질환 표현형 통합 data bank 구축: 환자 및 질환모델 대상조직을 활용하여 질환예측 대사체 상관성 분석. 즉 Mass, NMR, MRI(S), 통합적 메타분석, metabolic network 알고리즘 확립 및 DB 확보 • 생체대사체 조절 치료표적 검증 및 생리활성 분석: 스테로이드 및 스핑고지질 대사체에 기초한 신규 치료표적 발굴 및 대사체 경로 제어 동물모델 구축을 통한 신규 치료표적 검증 및 약물효능 평가기술 개발 • 질환 연계 대사체 제어인자 선도물질 발굴: 스핑고리피드 소재은행의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활용. 지질대사 조절 활성이 있는 유효물질을 발굴함. 합성화합물 및 천연물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통한 희귀성 자가면역질환 제어물질 발굴 및 선도물질 도출 ○ 제 2단계 (2017. 12 ~ 2019. 11) • 임상시료 및 모델 활용, 대표적인 희귀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의 예측을 위한 다중 바이오마커의 검증 • 질환치료 후보물질 도출: 신규 치료표적 제어 선도물질의 구조 활성 최적화 연구 • 진단 시스템의 임상 밸리데이션: 질환 특이 대사체 경로 기반 다중 바이오마커 (DNA/protein/대사체) 진단 기초 기술 개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특히, 스테로이드성 제제)의 맞춤형 효능 평가 기술의 확립 • 진단 시스템 상용화 기반 구축: 발굴된 후보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multi-plate 분석시스템 구축,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한 진단 키트 및 측정장비 개발 ○ 논문 76편, 게재 예정 논문 6편, 국내 특허 16편 출원/등록 6편, 국외 특허 3편 출원. 유효물질 2건. 신약 후보물질 2건. 진단시스템 2건 도출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통합적 대사체 분석시스템 기반 신규 치료표적 발굴과 제어 관련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 특허 선점 • 희귀성 자가면역질환의 예측을 통한 질환의 조기 발견율 향상 및 치료기술 선점 • 질환 발병기전 규명을 통한 기초 과학정보 제공과 관련 신기술 개발을 통한 전문연구인력 양성 및 희귀성자가면역질환 연구분야의 국제적 우위를 차지함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