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변광 현상을 이용한 별과 외계행성 특성 연구 ㅇ국내 광학망원경을 이용한 외계행성 및 변광천체 탐색관측 - 변광천체 관련논문 11편 발표 - 시선속도 외계행성 발견 관련 논문 2편 발표 - 식현상을 이용한 외계행성 탐색 관련 논문 3편 발표 ㅇ외계행성 국제공동연구 - KMTNet 자료를 이용한 국제공동 미시중력렌즈 외계행성 발견 논문 15편 발표 - MiNDSTep 그룹 참여 및 외계행성 관련 연구 논문 1편 발표 - 타투인 외계행성 국제공동연구(DWARF 그룹) 참여 - TESS 및 Kepler 망원경 두 번째 미션(K2) 국제공동 연구 진행 ㅇ변광천체 국제공동연구 수행 - Kepler 망원경 변광성 연구(KASC SWG) 참여 논문 1편 발표 ㅇ연구성과 - SCI 논문 51편(Nature 1편포함) - IF 상위 25% SCI 논문비율(주저자 논문대비): 5편(36%) - 우수논문 선정비율(전체논문대비): 10편(20%) 2. 내태양계 소천체의 자전 및 표면특성 연구 ㅇ 소행성의 물리적 특성 규명 및 태양계 먼지티끌의 궤도진화 연구 ㅇ 달 편광자료 기초연구 3. 우주용 소형 적외선 탑재채 개발 ㅇ 국내외 적외선 우주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우주초기에서 현재 우주에 이르는 우주 별생성 역사 및 이와 연관된 적외선우주배경복사의 기원 규명 ㅇ 적외선우주배경복사 관측을 위한 소형 적외선탑재체 발사 및 운용 ㅇ 적외선 우주망원경 시험을 위한 검교정 /지상 장비 개발 및 운영 ㅇ 적외선 우주관측 기술 개발 4. 이론천체물리연구 ㅇ 구상성단이나 은하 중심부 등에서 밀집 쌍성의 역학을 N-Body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 ㅇ 중력파 모수 추정 소프트웨어 개발(KAGRA에 적용). ㅇ 최신 펄사 관측 데이터를 반영한 천체물리학적 모델 수립. ㅇ 방향족 탄화수소(PAH)의 정렬 현상의 정량적 이해. ㅇ 방향족 탄화수소에서 나오는 방출선의 편광에 대한 연구. ㅇ ALMA 시대의 원시항성 및 원시행성 원반에 존재하는 자기장에 관한 연구. ㅇ 팽창하는 구각을 갖는 별탄생 영역에서의 Lya 편광복사전달 연구: 중앙에 별탄생영역이 있고 그 주변에 팽창하는 거대구각이 있는 경우, 중앙부에 먼지 티끌이 존재하는 모형에서의 Lya 복사전달 연구. 5. 우주측지기반 지구기준계 구현 및 지구변화 분석 ㅇ 지구기준계, GNSS 궤도, 지구회전계수 결정을 위한 자료처리 스크립트 설계 ㅇ 전 지구 GNSS 관측망 수집체계 구축 ㅇ Post-Newtonian 기반 위성궤도 모델 설계 (출처 : 요약서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