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물수요・물공급(SWG)・물순환(LID) 데이터 통합관리 초연결 플랫폼 기술 개발 및 표준화 스마트시티 물수요・물공급(SWG)・물순환(LID) 정보 분석 예측 기술 개발 ○ 물수요・물공급(SWG)・물순환(LID) 데이터 통합관리 초연결 플랫폼 기술 개발 및 표준화 - 수자원 인프라 초연결 지원 고신뢰 무선 자가망 핵심 기술 개발 - 물수요・물공급(SWG)・물순환(LID) 수자원 인프라 연동 프록시 개발 - 수자원 인프라 연동 기술 기반 실시간 데이터 전처리 및 저장 기술 - 수자원 인프라에 대한 분석 및 데이터 모델링 기술 개발 - 스마트시티 플랫폼 기반 수자원 데이터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및 통합 - 수자원 데이터 범주 별 품질관리, 소유권/사용권 및 접근권한 관리 모델 설계 - 수자원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지원 프레임워크 개발 - 수자원 데이터 통합관리 초연결 플랫폼 포털 개발 - 실시간 수자원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CPS 연동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개발 - 수자원 인프라・디바이스 원격관리를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 - 지능형도시수자원관리 연계시스템 및 데이터 모델, 스마트시티 표준 개발 ○ 스마트시티 물수요・물공급(SWG)・물순환(LID) 정보 분석 예측 기술 개발 - 기상정보를 이용한 스마트시티 물수요/공급 예측 기술 개발 - 수원 기반 물수급 네트워크 모형 구축 및 검증 - 수질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시티 물순환 예측 기술 개발 - 스마트시티 물정보 예측을 위한 기계학습 모형 개발 - 분석 및 예측 지원 프레임워크 기반 물정보 예측 기술의 초연결 플랫폼 모듈 개발 연구개발성과 ○ 스마트시티 수자원 초연결 플랫폼 및 핵심 기술 - 수자원 인프라 연동 프록시 - 초연결 고신뢰 IoT 네트워크 단말 및 게이트웨이 - 수자원 데이터 통합관리 및 분석 플랫폼 - 도시 수자원 초연결 플랫폼 웹포털 - CPS 기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인터페이스 - 수자원 인프라 및 디바이스 원격 관리 인터페이스 - 지능형 도시 수자원 관리시스템 및 데이터 모델 표준 - 스마트시티 물정보 실시간 분석 및 예측 기술 - 스마트시티 물정보 생산체계 구축 및 활용 기술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수자원 데이터 통합 관리 초연결 플랫폼 표준기술 확보 ○ 지능형 수자원 분석/예측 원천기술 확보 ○ 스마트시티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한 지능형 수자원 관리 패키지 지자체 보급 확대 ○ 글로벌 협력 및 선도의 기반 마련 ○ 리빙랩 기반 수자원 데이터 통합 관리 초연결 플랫폼 및 API 공개를 통하여 여러산업 도메인을 연계한 새로운 Cross-Cutting 서비스의 실험적 개발을 지원 ○ 수자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에너지, 농업, 환경 등 타 분야와의 실시간 연계를 기반으로 스마트 물관리 기반 사회를 효율화를 확대하기 위한 후속 연구추진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