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핵심기술 - 신속배양성분이 함유된 배양액과 형광센서, 산소투과방지되는 플라스틱 bottle를 결합 최종목표 - 미생물(결핵균) 배양기간을 신속하게 하는 배양촉진성분 및 배지 개발. - 미생물(결핵균)의 증식을 확인할 수 있는 형광센서 개발. - 배양촉진 배지와 형광센서가 부착된 배양 bottle 개발. 개발내용 및 결과 주관기관 : ① 배양 bottle개발 - 모양, 사이즈, cap모양, 성분분석 등 ② 미생물(결핵균)의 증식을 확인할 수 있는 형광센서 개발 - 미생물이 증식하면서 소모되는 탄소 검출용 형광염료인 Rudpp와 sol-gel을 결합한 형광센서 개발. ③ 형광센서 장착을 위한 고정화 물질 연구 - 배양 bottle 바닥면에 고정화를 위해 SOL-GEL 기법을 사용하여 개발 용역기관 : - 미생물 배양기간을 신속하게 하는 배양촉진성분 및 배지 개발 기술개발배경 - 미생물 배양진단 등의 검출에 사용되는 센서는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거리에서 검출할 때 전자기장 장애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음. - 특히, 광학기반의 센서는 높은 감도를 지님으로써 매우 낮은 농도의 시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점들로 인하여 검출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을 수 있음. - 미생물의 신속배양 배지의 개발과 비접촉 형광센서를 측정방법으로 탄소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미생물 증식을 신속히 판별할 수 있음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 지금까지 미생물/화학/심장, 당뇨, 뇌 관련 질환 분야에서는 유선방식으로 측정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비침습적 기술에 개발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황임. - 2021년 바이오센서 시장 매출액은 287억8000만 달러로 예상됨 (자료: 프로스트 설리번) - 우리나라에서의 의료용 센서분야는 국내 기반기술이 전무하여 100% 수입에 의존함. - 살아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확인하려면 배양이 필요할 수밖에 없고, Keypoint는 “신속히 증식 확인” 한다면 치료에 있어 “80%이상 성공했다”고 볼 수 있기에, “고감도 비침습적 센서 개발을 통한 실시간 배양 확인” 한다면, 환자의 치료/완쾌 확률은 대단히 높을 것으로 판단되어짐. 적용분야 - 의료용 센서 분야 - 진단의학 분야 - 체외진단 분야 (출처 : 요약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