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오염토양 서식 원핵생물의 다양성 조사 및 미발굴종 탐색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4. 연구결과 가. 자생 식물 및 동물 자원 확보 - 메틸아민 등 악취 제거 미생물 발굴을 위해 제주도 수산저수지의 생활폐수가 배출되는 부근 토양, 신경독성 물질인 IDPN을 분해하는 미생물 발굴을 위해 산업단지내 폐수처리공정의 수채·슬러지 그리고 수도권매립지 토양·슬러지 시료 확보 나. 오염환경 서식 원핵생물의 종 풍부도와 군집구성 특성 1) 산업단지내 폐수처리공정의 수채·슬러지 환경의 종 다양성과 특성 가) NGS 시퀀싱 결과 전체 시료에서 원핵생물 44문, 850속, 1,330종이 확인되었고, 종 수준의 계통형은 시료별로 594종에서 691종으로 나타남 나) 다양한 화학물질로 오염된 생물체가 살기 어려운 극한 환경에서도 최대 691종의 원핵생물이 서식 가능성이 확인되어 생물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은 종들이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됨 다) 미배양 속인 JF828734_g가 14%에서 30%까지 높은 비율로 우점하고 있으며, CBTK_g가 4%~9%, Saprospiraceae_uc가 4%~18%, AY548932_g가 4%의 비율로 구성되며, Thauera 속이 2%~6%, Anaerovorax 속이 2~3%로 구성되어 있음 라) Thauera는 폐수 중의 질소 제거에 관여하며 , Anaeroνorax는 부패 음식의 악취를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2) 수도권매립지 토양의 종 다양성과 특성 가) NGS 시퀀싱 결과 전체 시료에서 원핵생물 49문, 1,888속, 5,189종이 확인되었고, 종 수준의 계통형은 시료별로 2,606종에서 2,989종으로 나타남 나) 월등한 비율로 차지하는 우점 속온 없으나 일반 토양에서 발견하기 힘든 Sphingomonas(최대 8 %), Hydrogenispora(최대 5%), Methylobacter(최대 4%), Arthrobacter(최대 4%), Lysobacter(최대 4%) 등의 구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다) Sphingomonas는 생분해 · 합성 능력으로 생명공학기술에 이용되며, Hydrogenispora는 다양한 당 발효에, Methylobacter는 메탄산화, Arthrobacter는 아미노산 생산, Lysobacter논 식물병 억제의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3) 수도권매립지 슬러지의 종 다양성과 특성 가) NGS 시퀀싱 결과 전체 시료에서 원핵생물 56문, 1,909속, 4,716종이 확인되었고, 종 수준의 계통형은 시료별로 2,546종에서 2,612종으로 나타남 나) 일반적인 토양환경에서 발견하기 힘든 속인 Atopostipes(최대 16%), 미배양 속인 Tissierellaceae_uc(최대 13%), 미배양 속인 EF559154_g(최대 12%), Megasphaera(최대 10%), Prevotella(최대 6%) 등의 구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다) 주방, 화장실 등의 슬러지 중 매립을 위한 전처리 전의 시료에서 질병과 관련 있는 Megasphaera, Prevotella의 구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라) 특히, 슬러지는 매립 전의 시료로 오염 환경에 특이적인 미생물의 발생기간이 짧아 다른 시료에 보다 유용 미생물의 구성비율이 낮을 것으로 판단됨 다. 오염환경에서 배양체 17주 확보 1) Microbacterium sp. nov. 등 수산저수지 2종, 수도권매립지 2종의 신종후보 4종 및 미기록종 후보 8종을 포함한 원핵생물 배양체 17주 확보 2) 폐수처리조에서는 Paracoccus 속의 원핵생물들이 다수 분리되었고, 질화 및 탈질을 수행하는 종이 포함된 속으로 시료의 환경 특성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NGS 결과에서도 해당 속은 1% 때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이 확인됨 라. 기능성 균주 발굴을 위한 분석결과 1) IDPN 이 포함된 배지에서 분리된 균주 중 고농도(약 100,000 mg/L)의 IDPN에 내성이 있고, 1,000 mg/L를 약 80% 이상 생분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수처리조에서 분리한 균주확인 2) 수도권매립지에서 분리된 균주가 주요 악취물질 중 하나인 메틸아민을 분해하여 암모니아를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가 시험을 통하여 악취제거 미생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출처 : 요약문 5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79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