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 유래 카로티노이드 항산화 소재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ㅇ 기존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극호염성 고균 분리 및 카로티노이드의 산업적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생산 관련 연구가 미흡 ㅇ 따라서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의 순수 분리 및 NGS 기반 유전체 해독을 통해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유전자원 확보 필요. 또한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의 발효공정 개발을 통한 항산화 카로티노이드의 생산 최적화 연구 필요 ㅇ 후속 연구를 통해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유전자원의 재조합을 통한 대사공학 기반의 신규 카로티노이드 유도체 개발 가능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ㅇ 카로티노이드 생산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 분리 • 염이 함유된 시료(천일염 및 해수, 갯벌, 젓갈 등)로부터 극호염성 고균 180 균주 1차 분리 (목표: 극호염성 고균 20건 분리 - 초과 달성) • 5% 이하의 저염에서 생장 가능한 저염 내성 카로티노이드 생산 극호염성 고균 6균주 2차 분리 (목표: 카로티노이드 생산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 3건 분리 - 초과 달성) • C50 카로티노이드 및 이의 전구체(BR, MABR, BABR) 조성이 서로 다른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Haloferax sp. MBLA0076, MBLA0077, MBLA0078) 3균주 확보 (목표: 카로티노이드 조성비가 다른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 2건 분리 - 초과 달성) ㅇ NGS 기반 유전체 해독 및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유전자원 발굴 • 극호염성 고균 3종(Haloferax sp. MBLA0076, MBLA0077, MBLA0078)의 카로티노이드 필수 생합성 유전자인 crtB 및 crtI의 아미노산 레벨에서의 신규성을 확인 (목표: 유전자 신규성 분석 2건 - 초과 달성) • 상기 극호염성 고균 3종의 PacBio_20K 플랫폼 기반 whole genome 분석 완료 (목표: 유전체 해독 2건 - 초과 달성) •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유전자 군을 함유하고 카로티노이드의 생산성(A495/OD600)이 가장 높은 Haloferax sp. MBLA0078 균주 최종 확보 (목표: 신규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유전자 군 함유 극호염성 고균 1균주 최종 선별 - 달성) ㅇ 발효공정 개발을 통한 카로티노이드의 생산 최적화 • 배양배지(0.1% glucose, 0.1% fish peptone, 15% NaCl, w/v) 최적화를 통해 기존 DBCM2 배지 대비 약 230% 이상의 카로티노이드 생산성 증진 (목표: 배양조건 최적화 기반 카로티노이드 생산성 50% 이상 향상 - 달성) • 0.5% Glucose, 3% NaCl, 2% MgSO₄ (w/v) 배지를 사용하여 2단계 발효공정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1단계 발효공정 대비 약 475%의 카로티노이드 생산성을 증진 (목표: 발효공정 최적화 기반 카로티노이드 생산성 50% 이상 증가 - 달성) • Haloferax sp. MBLA0078 균주 유래 C50 카로티노이드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평가(DPPH, ABTS, FRAP)를 통해 β-carotene, trolox, BHT, ascorbic acid 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 (목표: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 유래 카로티노이드 항산화 활성 평가 - 달성)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ㅇ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의 분리를 통해 미생물 생태학적 관점에서 극호염성 고균 분리 조건과 관련된 미개척 분야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 ㅇ 카로티노이드 생산 저염 내성 극호염성 고균의 자원화 및 천연 항산화 카로티노이드의 바이오 소재화 유도 ㅇ 천연 항산화물질인 카로티노이드의 생합성 유전자원을 활용하여 대사공학 기반의 신규 카로티노이드 유도체 개발을 통한 생물전환 기반 고부가가치 바이오 소재 개발 가능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091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