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2016년 수입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수입되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파악하고, 위해평가 등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후 정부차원에서의 식품 위생/안전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료수거는 인구 백만 이상의 전국 9개 지역(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창원, 수원)을 선정한 후, 수입량 및 수입빈도가 높은 농산물 중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 1차도입 예정인 견과종실류 및 열대과일류 등 10품목(아몬드, 커피원두, 들깨, 오렌지, 바나나, 파인애플, 체리, 포도, 쌀, 고추등)을 선별하여 총 114건의 농산물을 수거하였다. 대상 농약은 단성분 분석으로 가능한 살균제(에톡시퀸, 트리포린, 이소티아닐, 이소피라잠, 오리사스트로빈, 벤티아발리카브 이소프로필, 하이멕사졸)와 살충제(피리플루퀴나존, 피메트로진, 메토프렌) 10종 및 다종다성분 분석 농약 464종, 총 474종을 선정하여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농약들은 모니터링에 앞서 시험법을 개선하고 매트릭스를 대표할 수 있는 농산물에 적용하여 국제적 기준인 Codex 시험법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시험법 검증을 수행한 후, 잔류농약 모니터링 시험법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모니터링에서 검출된 잔류농약을 대상으로 1일 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대비 1일 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 값으로 위해평가를 수행하였다. 개선된 시험법은 적절한 회수율, 직선성 및 재현성과 검출한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Codex 가이드라인에 적합하였다. 검증된 시험법으로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수거된 농산물은 총 114건 중 94건이 불검출 결과를 나타내어 82.5%의 불검출률을 나타내었고, 검출된 농산물은 20건으로 17.5%의 검출률을 나타냈으며, 이중 MRL을 초과한 농산물은 없었다. 검출 농약 12종에 대해 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1일 섭취허용량(ADI) 대비 1일 추정섭취량 (EDI) 결과가 0.000001~0.004969%의 범위를 나타내어 모든 검출농약이 위해도 측면에서 매우 낮아 유통되는 농산물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출처 : 국문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176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