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성층권 무인기 개발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9-29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김채형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성층권(Stratosphere)은 해수면 기준으로 고도 10~50km 사이를 말한다. 태양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성층권 내에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올라가서 열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대류권과 달리 구름의 형성이나 대류가 일어나지 않는다. 대기가 안정되어 있으며 희박하게나마 공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찰, 통신, 감시, 대기 측정 등의 목적으로 성층권에서 비행 가능한 무인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층권에서 비행은 감시나 정찰 목적이 주였으나 최근에는 성층권 비행을 통해 고고도 대기 위성(HAS, high-altitude atmospheric satellite) 또는 가짜 위성(HAPS, high-altitude pseudo satellite)이라고 불리는 성층권 무인기를 통한 HAPS 관련 통신 관련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1]. 일반적으로 성층권 비행은 여객기가 비행하는 대류권 계면(Tropopause) 이상에서 운용되어야 하고, 구름이 태양광을 막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이 있으며, 미국에서는 6만 ft(약 18km) 이상은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가 규제하지 않는 영공으로 정의하고 있다[1]. 성층권 무인기는 태양광전지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으며, 무인비행기(airplane), 무인비행선(airship), 기구(balloon)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br /> <br /> <strong>**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strong><br /> &nbs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70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