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목표 본 세부과제는 생활화학제품내 화학물질에 대한 성분 및 독성 DB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술을 개발하여 개인맞춤형 생활화학제품 위해정보제공 국민참여형 플랫폼개발을 위한 기반자료 구축을 목표로 함. 성공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성분 공개 대상 제품 50종중 최소 27종, 인체 직접 적용 제품 5종 이상, 대체 물질 DB, 국민 인식 조사에 의거한 국민 관심 제품 5종에 대한 성분 및 독성에 대한 DB를 구축할 계획임. 또한, 국내 주요 소비자제품 중 대상물질 전성분 자발적 공개 대상 제품을 중심으로 국내외 노출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사용 패턴을 파악하고, 소비 및 사용 행태와 관련된 자료를 확보 분석하고자 함. 동시에 클라우드 기반 생활화학제품 사용 정보 처리 빅데이터 기술을 개발하여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사용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알림 서비스 및 지능형 웹 크롤러 기반 생활화학제품 위해정보 실시간 제공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함. 또한 소비자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화형 생활화학제품 위해 정보 인공지능 챗봇 및 생활화학제품 사용정보 빅데이터 대시보드를 개발하여 활용하고자 함. □ 연구개발내용 [생활화학제품 독성DB 구축 및 위해정보 분석] ① 실생활 노출 가능한 생활화학제품 노출 요인에 대한 현황 분석 연구 수행을 위해 후보제품군을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제품에 대한 국내외 노출 관련 기반자료를 분석한 후, 대상제품의 소비 및 사용행태 조사하여 관련자료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함. ② 생활화학제품의 함유 화학물질의 성분에 대한 독성 DB를 구축하여 플랫폼 구축의 기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대상 물질 전성분 자발적 공개 대상 제품 50종의 성분을 대상으로 하여 위해 우려 제품 23종, 공중위생법상 위생용품 4종 우선적으로 구축함. ③ 독성이 낮은 대체 물질 DB를 확보하여 생활화학제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안심 소비 정보 제공 서비스의 일환으로 대체 물질 정보가 제공되도록 함. ④ 새롭게 대두되는 오염물질(personal care products &endocrine blocking compounds등)중 일상생활에 서 노출정도에 의해서는 유해성이 낮아도 환경호르몬성 (내분비 장애 물질)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의 경우 환경호르몬 교란관련 정보제공이 되도록 내분비 교란 DB 구축하고자 함. ⑤ 생활화학제품의 화학성분에 대한 정보가 미비한 제품에 대한 성분함량을 분석법을 확립하고, 적절한 검증을 통하여 평가함. [클라우드기반 국민참여형 플랫폼을 활용한 생활화학제품 이용실태 분석 및 빅데이터 기술개발] ① 생활화학제품 개인 맞춤 국민참여형 플랫폼을 활용한 이용실태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기 위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함. ② 생활화학제품 이용 실태 빅데이터 대시보드를 개발하여 인공지능 질의응답 챗봇을 위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고 실시간 정보 제공 및 이용실태를 분석 시각화하는 빅데이터서비스를 개발함. ③ 클라우드 기반 생활화학제품 사용 정보 처리 빅데이터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개인맞춤 국민참여형 플랫폼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하는 개인별 이용패턴 분석 서비스를 개발하고,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지식베이스를 확장함. □ 연구개발성과 생활화학제품의 국내외 노출 현황을 조사하여 이들의 소비 및 사용행태를 분석하고, 대상제품군에 함유된 화학물질의 성분 및 독성 DB를 구축하여 개인맞춤형 국민참여형 클라우드 기반 생활화학제품 이용실태 빅데이터 서비스 기술을 개발함.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① 환경 호르몬 대체 소재의 각종 시험법의 확립을 활용하여 향후 계속적으로 개발이 될 대체 소재들의 분석 서비스 및 DB에 데이터 확충 활용 ② 개발된 대체 소재의 신속한 평가가 가능하게 하여 제품화에 기여하고, 대체 소재의 개발을 유도하여 다양한 미래 신산업 창출이 기대됨. ③ 사회적 문제인 위험물질의 위험도를 제시하고 구제적인 과학적 정보를 통해 서민불안감 완화 ④ 저비용의 검사가 가능한 평가기술을 확보하여 취약계층을 위한 저위해성 제품 개발의 활성화 ⑤ 저독성 대체소재에 대한 정보 제공을 선진국 수준으로의 지원가능하게 유도함. ⑥ 새로운 대체물질 또는 소재를 개발하거나 인체질병과의 상관성을 진단하고 모니터링 및 예측가능하게 함 ⑦ 화학 물질의 안전정보 제공을 통하여 관련 제품의 매출액 상승을 유도 ⑧ 저독성 소재를 사용하도록 법적 가이드라인 제정 ⑨ 생활화학제품 화학 소재로 야기가능한 만성질환들의 감소를 통한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기대 (출처 : 국문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