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최종목표 - 암화 과정에서 발현 혹은 활성이 증가되어 있고, 화학요법제 치료 내성을 유도하는 유전자를 발굴하여 항암요법 내성 인자를 제어하는 병용 치료의 타겟을 발굴하고자 함 · 고형암의 삼차원 암미세환경 유사 배양 기술을 이용한 항암능 시험법 확립 · 암미세 유사환경에서 항암치료의 내성 기전을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치료 타겟을 제시함으로써 암 치료 효율 증진의 중요한 표적을 도출 ■ 연구내용 1. 저산소 암미세 환경과 유사한 삼차원 tumorspheroid 시스템 구축 2.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tumorspheroid의 cisplatin 민감도를 비교하여 민감성/저항성 세포주로 분류 3. 민감성/저항성 세포주의 cisplatin 처리 후 DEG를 ARACNe/MRA 분석을 활용한 cisplatin 민감도 조절인자 분석 4. Gene ontology 등의 분석을 통한 cisplatin 민감도 조절 관련 유전자군의 분류 5. 주요조절인자 혹은 타겟유전자 조절에 의한 cisplatin 민감도 변화 확인 6. 주요조절인자의 cisplatin 저항성 관련 타겟유전자 전사조절기전 연구 7. 주요조절인자/타겟유전자의 종양 치료 내성 조절 역할을 in vivo에서 확인 8. 폐암환자 조직 샘플에서 cisplatin 저항성 관련 인자의 발현 및 예후 조사 연구개발성과 1) 총연구기간 내 목표연구성과로 기 제출한 값 - 암미세환경과 유사한 3차원 세포 배양 모델 정립 - 항암 화학요법 내성의 원인 인자를 도출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인체 내 암미세환경과 유사한 3차원 세포배양 모델의 항암제 개발 시스템에 적용으로 in vitro 연구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항암 화학요법 저항성의 원인이 되는 주요 인자를 도출, 전사조절 네트워크 규명을 통해 암 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세포내 조절인자를 발굴함으로써 항암 화학요법의 효율을 증진시킬 분자적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함. ○ 도출된 화학요법 저항성 유도인자의 억제로 인한 치료 효과 증대를 검증, 기전 규명 후 후속 연구를 통해 치료 저항성 극복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효과적인 암치료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