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제주지역 월동채소 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방울다다기양배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주지역 적응성이 강한 방울다다기양배추 품종 선발, 토양 종류별 시비 기준 설정, 병해충 방제 기술 등을 개발하였다. 제주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검은썩음병에 저항성이 강하면서 수량성이 높은 품종은 '브릴리언트', 'ABS1507-3' 등이었으며, 작업의 효율성 및 수량성을 고려한 적정 재식거리는 70×40cm였다. 수확기계를 이용하였을 경우 수확시간은 단축되었으나 파손률이 높아 아직 실용 단계에는 접근하지 못하였다. 제주지역 화산회토에서 최적 시비량은 N 32.3kg, P 6.7kg, K 12.3kg 이었으며, 비화산회토 지역에서 최적 시비량은 N 34.1kg, P 8.4kg, K 13.2kg 이었다. 방울다다기양배추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은 병 6종, 해충 14종으로 총 20종이 조사되었으며, 주요 병해로는 잘록병, 검은썩음병, 검은무늬병, 균핵병이었고 해충은 담배거세미나방, 도둑나방, 배추순나방 등이었다. 병해충 방제모델로 연 6회의 방제시기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농가실증시험을 진행한 결과 농가 관행방제에 비하여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방제비용은 40~50%의 절감효과가 있었다. (출처 : 요약서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