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EDCs(Endocrine disruptor chemicals,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로 인해 생물이 받은 생리적인 스트레스 반응유전자의 발현패턴을 정량화하고 EDCs 노출을 감지하는 생물의 센싱(sensing) 요인을 추출하여 환경변화를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유전자 발현 분석과 생태독성학적인 반응점을 추출 통합하여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생물의 센싱 요인을 추출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NGS 유전체정보와 뱅크를 기반으로 면역계 proPO system 유전자 탐색함 ○ 성장과 면역계의 변화를 반영하는 proPO system의 beta-GBP, LGBP, PGBP 스트레스 유전자군 선정함 ○ EDC인 BPA나 DEHP 노출 농도에 따른 칠게의 생태독성 종말점 추출 및 스트레스 유전자 발현 측정을 통한 특이성 분석함 ○ 야외 생물시료의 성장 관련 유전자 발현 측정을 위해 광양만 4곳의 야외시료와 서식 야외 칠게내의 중금속 분포 분석하고 Chitinases 유전자 발현 측정함 ○ 야외 생물시료와 실내 생물시료의 Chitinase 1, 4, 5 유전자발현을 비교하여 Chitinase 1의 발현패턴이 노출 및 야외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유전자임을 밝혀냄. ○ 분류학적인 동정 key 추출 및 노출에 따른 형태변이분석을 위해 수서무척추동물에서는 구강형태와 안테나를 통한 분류체계를 완성하고 해양무척추동물인 칠게에서는 외골격표면조도(exoskeleton surface roughness)를 통한 노출반응 변이 확보함 ○ 외골격 키틴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Chitinase유전자들의 발현패턴과 외골격 표면 측정을 통한 변이분석을 비교하여 노출물질의 독성분석 기법 제안함. ○ 정보추출: 기온, 오염물질, 유전자발현, 형태변이, 키틴 표면형성 등의 요소 효율성 검토함 ○ 환경변화를 반영하는 Chitinase 1 유전자 발현패턴 분석을 통해 EDC물질 센싱 요소를 추출하고 외골격 표면거칠기 측정을 통한 노출변이분석 기법 제시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환경변화에 반응하는 유전자의 분자마커 개발을 통해 생물 및 생태환경의 건상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개발을 위한 기반정보를 제공함 ○ 다양한 오염원의 변이 분석을 통해 불특정 원인을 알 수 없는 비점오염원에 의한 생물의 피해 진단평가 활용의 기준제시함 ○ 생태위해성 진단평가를 위한 생물의 스트레스 분자마커 활용의 정보를 제공하고 수환경 대상종 가능성을 분석함 ○ 스트레스를 감지하고 반응하는 생물의 외골격 표면조도 요소는 센싱기술의 기반으로 원인을 파악하기 전에 선대응을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