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잔류성유기오염물질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은 인체 노출이 불가피 하나 체내에서 거의 분해/배출되지 않는다고 알려진 내분비계장애물질로써, POPs 축적에 의한 잠재적 대사증후군 발생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상황임. 본 연구에서는 POPs에 의한 지질축적이 대사증후군 유발의 매개 요인이라는 예비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POPs의 생체 내 세포분자생물학적 작용 기전을 밝힘으로써, POPs의 축적으로 인해 유발되는 지질축적의 주요조절인자를 발굴하여 이를 통한 잠재적 대사성증후군의 발생을 예방하고 표적제어를 시도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는 기초연구 및 응용단계를 거쳐 PCBs 유래 지질축적의 기전을 밝히고, 그로 인해 유발되는 대사증후군을 표적 제어하고자 하였고, 아래와 같은 세부 연구목표를 가지고 3년간 진행하였고 100% 목표를 달성하였고, 후속연구 진행 중임. 1. PCBs에 의한 지질축적 및 대사증후군 발생경로 탐색 및 분석 1) 대사증후군의 주요 표적장기인 간, 지방, 근육세포 및 마우스모델 확보완료 : 마우스 모델 및 세포모델 확보 2) PCBs 축적에 의한 지질축적 관찰 기법 확립 - in vivo/in vitro에서 지방방울 염색 및 지방방울의 정량 및 크기 분석 3) PCBs 축적에 의한 대사증후군 발생경로 관찰을 통한 지질축적-대사증후군 간의 상관관계분석 - 지방간, 인슐린저항성 등을 in vivo / in vitro에서 확인 - 순차적 발생경로 (조직별 발생순서 및 대사증후군 발생순서) 탐색 2. PCBs의 생체 내 세포분자생물학적 작용 기전 연구 1) PCBs 축적에 의한 지질축적에 대한 세포분자생물학적 작용 기전 연구 - PCBs축적에 의한 신호전달체계 변화 분석 및 관련 유전자발현 변화 분석 2) PCBs 축적에 의한 대사증후군에 대한 세포분자생물학적 작용 기전 연구 - PCBs-유래 당뇨병/지방간 발생 기전연구 3) PCBs 축적에 의한 지질축적과 대사증후군 간의 상관관계를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제어가능한 주요조절인자 탐색분석 3. 주요 조절 인자 검증 및 표적 제어 연구 1) PCBs 축적에 의한 지질축적 및 대사증후군 발생의 주요 조절인자 동정 및 검증 2) 기존 대사증후군 관련 약물 및 천연물질로 PCBs-유래 지질축적/대사증후군의 저해가 가능한지 검증 3) 본 연구에서 발굴된 주요조절인자 유전자 조작을 통한 표적제어기술의 효과 검증-기존약물들과의 효과 비교/검증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여 연구 목표대비 100% 달성에 해당하는 성과를 달성하였음. - 논문 2편, 특허등록 2건, 국제학회 포스터 발표 4건, 국내학회 포스터 발표 3건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현존 인류가 피할 수 없는 문제인 인체 유해성 환경독소에 대한 세포분자생물학적 작용 기전의 규명 및 표적제어기술 개발로 인류 보건복지 증진에 기여 2. 잔류성유기오염물질 (POPs) 축적에 의한 잠재적 대사증후군 예방 및 완화관련 의약품 개발에 필수적인 원천기술의 근거 제공 3. 전 세계적으로 1조 5,000억 원에 이르는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성·유해성 평가시장에서 원천특허 확보 및 관련분야 권위 학술지에 논문 게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