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요 별은 우주의 핵심 구성원으로 별의 생성과 진화 과정은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흥미로운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이전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별 생성의 조건, 과정, 영향, 그리고 진화 단계에서 성간으로의 물질 방출 현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우주의 진화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고질량 별의 생성 과정이나 이들이 성간 물질에 미치는 영향 등은 최근 우주 망원경이나 서브밀리미터 대역의 관측이 가능해지면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 사업에서는 비교적 가까운 별 생성 영역인 오리온 자리 복합 분자운의 원시성 코어와 분출류 연구, 별 생성 영역의 자기장 연구, 원시성의 광도 밝기 변화 연구를 통해 별 생성 초기 과정을 자세히 이해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다양한 국내외 최신 전파 관측 기기를 사용하여 별 생성 초기 과정에 대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획득하였다. - 오리온자리 L1641N 주변에 대한 다파장 전파 연속선 관측을 수행하여 성간 먼지의 성질을 연구하고, 간섭계를 이용한 SiO 분출류 고해상도 영상 관측을 통해 분출류의 물리량을 유도하였다. - 원시성 및 별 생성 코어에 대한 다양한 분자선과 연속선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원시성 및 코어의 화학적 진화 상태를 연구하였다. - 중적외선 WISE 공개 자료를 이용하여 4개의 HII 영역 주변 원시성을 동정하고 분류하는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 JCMT/SCUBA-2 서브밀리미터 대역 변광 탐사 관측을 통해 Serpens Main 영역에 있는 Class I 원시성 EC53에 대한 서브밀리미터 대역의 급격한 광도 증가 현상을 연구하였다. - 비교적 가까운 별 생성 영역에 대한 서브밀리미터 대역 자기장 탐사 관측 연구와 컴퍼스자리 복합 분자운 내 원시성에 대한 근적외선 편광 관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이 연구 사업에서는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 단위인 별의 생성과 진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자선과 연속선 관측을 수행하였다. 분자선의 중수소화 비율을 통해 별생성 코어의 진화 단계를 추정하고, 처음으로 4밴드 동시 관측 연속선 자료를 분석하여 별생성 코어의 SED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먼지의 특성을 분석하는 등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하였다. WISE 공개 자료를 이용하여 원시성을 찾는 방법 역시 기존의 방법을 보안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또한 별생성 관련 서브밀리미터 대역 탐사 관측 프로젝트를 통해 원시성의 서브밀리미터 대역 변광 현상과 별생성 영역의 자기장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관련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ALMA의 관측 시간을 확보하였다.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