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장내미생물총과 심혈관질환과의 관련 연구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7-08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상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strong>1. 서론</strong><br /> <br /> 인체는 104개 이상의 미생물과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위장관에 살고 있으며 특이한 대사 포텐셜을 가지고 인체 건강 및 질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장내세균총(gut microbiota, GM) 조성에 불균형이 일어나면 allergy, inflammatory bowel disease, obesity, diabetes 및 cancer 등 많은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실험적 증거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1, 2] Post-genomic era 동안 next-generation sequencing(NGS)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GM이 다양한 인체 질병과 연관성이 있다는 수많은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고, 현재는 GM의 조성 및 기능적 분석까지 가능해지고 있다.[3~6]<br /> <br /> 그런데 최근 미국 Cleveland Clinic &amp; Cleveland Heart Lab과 Wisconsin 대학에서는, GM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들을 근거로 GM 조성 분석뿐만 아니라 microbiota가 생산하는 trimethylamine-N-oxide(TMAO) 같은 특정 대사체도 함께 분석해 인체 질병 발생 메커니즘을 세부적으로 밝혀냈으며,[3~5] 이를 통해 cardiovascular diseases(CVDs)의 새로운 조기진단 생체표지자로 활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기존 임상검사실에서 검사되고 있는 진단용 생체표지자들보다 좀 더 조기 단계에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는 명확한 실험적 증거들이 보고되고 있다.[3, 4]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GM 분석과 혈중 대사체의 병행 분석으로 정확한 질병 조기진단뿐만 아니라 향후 관련된 질병 치료용 신약 개발에 새로운 표적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런 것들이 향후 정밀의료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br /> <br /> 이 보고서에서는, 장내미생물총과 심혈관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br /> <br /> <strong>**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strong>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6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