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현재까지 연구에 있어 여러 악성 종양에서 암억제 유전자인지 발암유전자인지 많은 논쟁, 연구가 되고 있는 Sirtuin Family, 특히 Sirtuin 6(SIRT6)가 악성종양 특히 두경부암의 발암 과정에 관여하는 연구는 매우 드물며 암세포와 정상세포간의 기능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보고는 없는 실정이었다. SIRT6 의 두경부암 내 발현과 정상조직 발현 차이를 확인하였고 SIRT6유전자와 단백질을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역할과 핵심 조절 기전을 규명하여 암 치료를 위한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두경부 암 종양유전자에 독립적이면서 암세포 대사를 억제할 수 있는 SIRT6의 역할을 규명하여, 정상세포에서는 독성이 없고 선택적 암세포에서만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암세포에만 선택적인 독성은 새로운 종양 표적치료 기술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 Sirtuin6 (SIRT6) 클로닝 및 발현 정제 및 다양한 세포주에서 SIRT6의 발현에 따른 세포 사멸 조건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SIRT6 클로닌 및 발현 정제 및 SIRT6 발현에 따른 두경부 암세포주 사멸 조건 확립함. 2차년도 - SIRT6 단백질의 세포 내 전달 연구, SIRT6 복합체 전달을 통한 세포 사멸연구 SIRT6 발현 억재시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SIRT6 발현시 암 세포내에서 발생하는 기전 확인 및 암세포 사면기전을 정상 세포와 비교 확인함, 또한 SIRT6 발현 억제시 두경부암세포주 세포사멸이 현격히 저하됨을 확인함. 3차년도 - SIRT6 단백질 전달을 통한 in vivo efficacy 연구, SIRT6 단백질의 독성 테스트를 하고자 하였으며, 동물실험모델에서 SIRT6 주입시 선택적으로 암세포사멸이 일어나 종양억제함을 확인 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기존에 발암인자 또는 항암인자 명확하지 않았던 SIRT6 연구하여 두경부암에서 암세포에만 작용하는 선택적 항암능이 확인하였으며, 항암치료제로 활용되지 못하였던 SIRT6를 본 과제연구 수행을 통해 확립한 조건과 기술을 활용하여 신규 약물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사료됨. 본 과제 도출 기술에 기반하여 효능이 좋은 SIRT6 단백질 약물을 활용하여 두경부암치료가 보다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될 경우, 기존 암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필요한 막대한 의료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