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미활용탄소자원을 원료로 화학원료 및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핵심 소재와 반응공정의 원천기술을 개발 1. 부생가스/탄소폐자원 혼합된 가스 내 CO/CO 2 및 N 2 /CH 4 선택적 분리를 위한 원천 분리막·흡착소재 : 전이금속을이용한 CO 고선택투과성 촉진수송복합막개발 (CO/N 2 선택도 최대 35.8, CO 투과도 25.4 GPU) 2. 부생가스/탄소폐자원을 동시활용하여 고부가 화학원료 및 고분자제품 제조: CO 2 를 COG와 반응시켜 유용한 CO로 전환하는 기술개발 (CO 2 전환율 90% ) 3. 광직접 활용 화학제품 생산이 가능한 CO 2 전환 시스템용 광촉매-바이오촉매: 인공광합성 핵심인 2D COF 광촉매상의광전하의전달 메커니즘을 펨토초분광법을 이용 세계 최초로 규명 4. 신재생에너지 활용 CO 2 전환 고부가 산화-환원 융합 원천기술: CO 2 로부터 옥살산 제조 기술 개발 (전환효율 95%) 5. 광전기화학전지를 이용한 CO 2 전환 고부가 C 2 화합물 제조: 구리-세리아 촉매를 활용한 에틸렌-에탄올의 고선택성 생산 6. CO 2 와 수소로부터 청정연료 및 화학제품 제조: 촉매 최적화(액체 탄화수소 수율 35.2%) 및 P2L/P2G 하이브리드 공정 개발 (CO 2 저감율 90%) 7. 그린탄소 유기성 폐자원과 CO 2 동시전환을 위한 원천촉매: 글리세롤-이산화탄소 동시전환 반응 불균일촉매 개발 (젖산 62%, 포름산 37% 생성) 8. 유기성 폐자원활용 CO 2 전환 폴리머 플랫폼 제조: 이산화탄소 전환용 고효율 나노 다공성 철 촉매 개발 (고리형 carbonate 전환 촉매 효율 TON 993) 9. 유기성 폐자원 원료 기반 청정액체연료 생산을 위한 원천요소기술 및 융·복합 공정: SRB 우점생물 반응조의최적 운전을 통한 유기황제거 기술 (유기황 제거 효율 38% 증가) 10. 탄소자원화 기술의 전과정 평가 기반 구축: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의 전과정평가 수행 가이드라인 발간 ※ 연구실적: SCI 논문 127 + 비SCI 논문 5 (IF=7.483, mrnIF=85.6).특허 국내출원 73, 국외출원15, 국내등록6. 기술이전 2건 (신평산업 2500만원, S&T 1500만원)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