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은하의 형태로 본 은하 생성과 진화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5-09-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부산대학교
연구책임자 안홍배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Sloan Digital Sky Survey의 공개 자료인 SDSS DR7에서 제공하는 은하의 적색이동 자료를 이용하여 z n , dE un ), dE bc , dE blue , dSph (dSph n , dSph un ), dS0 (dS0 n , dS0 un )로 세분하여 분류함으로서 왜소은하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이 결과는 A CATALOG OF VISUALLY CLASSIFIED GALAXIES IN THE LOCAL (z ~ 0.01) UNIVERSE라는 이름의 은하 형태 목록으로 국제전문학술지인 ApJS에 게재하고, 영상 자료는 web (http://earth.es.pusan.ac.kr/hbann/apjs/z01image)에 올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목록에 올라있는 은하의 수는 5836개로 타원은하(E)가 1.5%, 렌즈형 은하(S0)가 4.5%, 나선은하(Sp)가 32.1%, 불규칙 은하(Ir)가 42.8%이며, 왜소타원은하형 은하가 19.1%정도로 되어있다. 이 연구를 통해 알려진 중요한 결과 중 한 가지는 최근에 그 존재가 알려진 dE blue 은하가 왜소은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과, 최근까지 거의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dE와 dSph은하가 본질적으로 다른 은하라는 점을 밝힌 것이다. 우리 은하의 위성은하에서 발견되어 주목을 받아온 왜소구형은하(dSph은하)는 왜소타원은하(dE은하)보다 더 흐리고, 푸르며, 표면광도의 변화가 완만하다. 또한, dSph 은하는 dE 은하보다 더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국부 우주에서는 가장 가까운 이웃 은하까지의 거리가 ∼260 kpc 정도 되고, 국부 우주를 구성하는 은하의 1% 정도가 2Mpc안에 어떤 은하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IF가 높은 학술지인 ApJS에 실림으로서 이 자료를 이용한 많은 후속 연구를 통하여 우주의 이해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z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093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